OTT 서비스 특성이 사용 편리성 인식과 콘텐츠 품질 인식을 통해 서비스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연구 주제: OTT 서비스 특성이 사용 편리성 인식과 콘텐츠 품질 인식을 통해 서비스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배경: OTT 서비스의 급속한 확산은 사용자 경험의 중요성을 한층 부각시키고 있으나, 사용 편리성과 콘텐츠 품질을 포함한 사용자 경험 전반이 서비스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통합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이는 기존 연구들이 주로 기술적 특성이나 개별 요인에 국한되어 있어, 사용자 경험 전반이 재이용 의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종합적이고 구조적인 논의가 필요한 상황임을 시사한다....
Saved in:
Published in | 인문사회과학연구, 33(2) pp. 357 - 377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인문사회과학연구소
01.05.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 연구 주제: OTT 서비스 특성이 사용 편리성 인식과 콘텐츠 품질 인식을 통해 서비스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배경: OTT 서비스의 급속한 확산은 사용자 경험의 중요성을 한층 부각시키고 있으나, 사용 편리성과 콘텐츠 품질을 포함한 사용자 경험 전반이 서비스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통합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이는 기존 연구들이 주로 기술적 특성이나 개별 요인에 국한되어 있어, 사용자 경험 전반이 재이용 의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종합적이고 구조적인 논의가 필요한 상황임을 시사한다.
· 선행 연구와의 차이점: 본 연구는 사용 편리성과 콘텐츠 품질을 매개로 OTT 서비스 특성과 재이용 의도 간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사용자 경험의 역할을 중심으로 기존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며 새로운 학문적 기여를 시도하였다.
· 연구 방법: 구조방정식 모형(SEM)을 활용하여 OTT 서비스 특성, 사용 편리성, 콘텐츠 품질, 재이용 의도 간의 상관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데이터를 통해 각 변수가 사용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 연구 결과: OTT 서비스 특성 중 다양성과 편의성은 사용 편리성과 콘텐츠 품질 인식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콘텐츠 품질 인식은 재이용 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으며, 사용자 경험이 중요한 매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본 연구는 OTT 서비스에서 사용자 경험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실무적 전략과 학문적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콘텐츠 다양성과 편의성을 강화한 사용자 중심 설계의 필요성을 제안하며, 서비스 충성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Research topic: The influence of OTT service characteristics on service reuse intention through perception of usability and content quality · Research Background: The rapid expansion of OTT services has highlighted the growing importance of user experience; however, there is still a lack of comprehensive research analyzing how overall user experience—including perceived ease of use and content quality—affects users’ intention to reuse the service. This indicates that prior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technological aspects or individual factors, underscoring the need for an integrated and systematic discussion on the influence of user experience on service reuse intention.
· Differences from Previous Studies: This study comprehensivel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OTT service characteristics and reuse intention by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s of usability and content quality. It addresses the limitations of prior studies and introduces new academic contributions centered on user experience.
· Research Metho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employed to empirically examine the correlations among OTT service characteristics, perceived ease of use, content quality, and reuse intention. The data provided a quantitative basis for evaluating the influence of these variables on user behavior.
· Research Results: Among OTT service characteristics, diversity and convenience positively influenced perceptions of ease of use and content quality. Content quality was found to have the most significant impact on reuse intention, with user experience serving as a crucial mediating factor.
· Contributions and Expected Effects: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user experience in OTT services, offering practical strategies and academic insights. It suggests enhancing content diversity and convenience in user-centered designs to foster service loyalty and ensure sustainable growth in the OTT industry.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209267 |
ISSN: | 2288-8861 2671-5376 |
DOI: | 10.22924/jhss.33.2.202505.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