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인 「감자」의 영문 번역본에서오류와 차이의 문제- Peter Lee’s Modern Korean Literature와Bruce Fulton의 Modern Korean Fiction에서의 번역에 대한독자반응 설문의 분석을 중심으로

본고는 번역을 경제, 정치, 언어, 문화가 복잡하게 교차하고 타협하는 장으로 보고, 김동인 「감자」에 대한 Peter Lee와 Bruce Fulton의 영문 번역을 중심으로 독자 설문을 실시해 번역에서 발생하는 오류와 차이가 어떻게 인식되고 수용되는지 분석했다. 번역은 오류와 차이를 기준으로 구분하고, 그에 대한 독자의 반응은 문화정보와 정서 정보로 구분하여 살폈다. 설문은 이탈리아와 체코의 한국학 전공 학생 24명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기존 번역과 원문에 가까운 대안 번역 중 선호도를 묻고, 두 번역의 차이와 그 중요성을 5단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인문학연구, 0(63) pp. 65 - 112
Main Authors 양가영, 정임숙, 안드레아 쉬머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인문학연구원 01.05.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5485
2671-8847
DOI10.35559/TJOH.63.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고는 번역을 경제, 정치, 언어, 문화가 복잡하게 교차하고 타협하는 장으로 보고, 김동인 「감자」에 대한 Peter Lee와 Bruce Fulton의 영문 번역을 중심으로 독자 설문을 실시해 번역에서 발생하는 오류와 차이가 어떻게 인식되고 수용되는지 분석했다. 번역은 오류와 차이를 기준으로 구분하고, 그에 대한 독자의 반응은 문화정보와 정서 정보로 구분하여 살폈다. 설문은 이탈리아와 체코의 한국학 전공 학생 24명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기존 번역과 원문에 가까운 대안 번역 중 선호도를 묻고, 두 번역의 차이와 그 중요성을 5단계로 평가하게 했다. 그 결과, 오류에 가까운 번역에서는 차이의 정도와 중요성을 크게 인식할수록 원문에 충실한 번역을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했다. 이는 번역의 충실성에 대한 독자 요구가 높다는 점을 보여준다. 반면, 정서 정보의 오차가 클 때는 의미상 큰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과반의 학생이 기존 번역을 선택하는 역선택 현상이 나타났다. 이는 정서 정보의 판단이 문화적·문학적 맥락, 즉 언어를 넘어서는 컨텍스트의 영향을 더 크게 받는다는 점을 시사한다. 문화 정보의 누락이 두드러지는 ‘칠성문’이나 ‘지게’와 같은 번역에서는, 문화적 함의가 풍부한 경우 더 많은 설명이 포함된 번역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했지만, 본문 흐름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경우에는 간결한 번역이 선호되기도 했다. 특히 ‘지게’처럼 문화적 화소가 본문 흐름을 방해한다고 느끼면 간결한 번역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주석 등으로 문화 정보를 보완할 경우 선호도가 높아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번역에서 충실성과 가독성, 문화 정보와 정서 정보의 균형이 독자 수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보여준다. 또한, 대안 번역을 선택한 학생들이 차이의 정도와 중요성을 더 크게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지만, 기존 번역을 선택한 학생들도 차이의 크기와 중요성 자체는 비슷하게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삼박자’ 번역 등에서는 두 그룹 모두 차이의 중요성을 높게 평가해, 번역 충실성에 대한 독자의 판단의 균열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동시에 정서 정보 차이에서는 사회·경제적 맥락 등 다양한 요인의 교차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독자 판단은 고정적이지 않고 균열을 드러내며, 동시에 번역의 과정에는 원본, 번역가, 가상 독자가 모두 개입하므로 이와 같이 균열의 독자 분석이 시급히 요구됨을 강조한다. 완전한 번역의 불가능성을 전제한 결여의 번역에 대한 설문 과정 자체가 참여 학생들에게 번역과 문화 경계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교육적 효과가 있었음도 확인할 수 있었는데, 학생들은 번역문에 대한 적극적인 자신의 대안을 제시하는 과정에서 번역의 장에 대한 개입은 교육의 주요한 과정인 된 것이다. 연구 과정에서 ‘지게’와 유사한 외국 도구(예: 독일의 Rückentrage) 사례를 공유하는 등 문화 비교의 폭도 넓혔다. 결론적으로, 번역에서 발생하는 오류와 차이에 대한 독자 반응은 단순히 언어적 문제가 아니라 경제·정치·문화적 맥락이 교차한 결과임을 실증적으로 보여주며, 번역 충실성, 가독성, 문화 정보의 제공 등 다양한 요소들이 독자 반응에서 균열을 만들어냄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설문 참여자 수와 텍스트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한국 문학 번역 연구와 실제 번역 전략 수립에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하며, 후속 연구의 필요... This study approaches translation not as a mere linguistic conversion but as a site of negotiation where economic, political, linguistic, and cultural dimensions intersect and compromise. From this perspective, it focuses on the English translations of Kim Dong-in’s short story “Potato”, particularly Peter Lee’s and Bruce Fulton's version, and analyzes how errors and differences in translation are perceived and received by actual readers through a survey. The study classifies reader responses to translation errors and differences into two categories: cultural information and emotional inform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24 Korean studies students in Italy and the Czech Republic. Participants were asked to indicate their preferences between existing translations and alternative translations that were closer to the original text. They also evaluated the differences and their significance on a five-point scale. The results show that, in cases of error-prone translations, the more the difference and its significance were perceived, the stronger the preference for translations faithful to the original. This indicates readers’ high demand for fidelity in translation. However, when emotional information was lost or altered, a reverse selection phenomenon emerged: despite significant semantic differences, more than half of the students still preferred the existing translation. This suggests that judgments about emotional content are more heavily influenced by cultural and literary context—beyond the level of language. In cases of omitted cultural information, such as the terms Chilseongmun (Seven-Star Gate) or jigae (Korean A-frame carrier), readers tended to prefer translations with more explanation when cultural connotations were rich. Conversely, when the omitted term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overall narrative, more concise translations were favored. In particular, if a culturally charged term like jigae was perceived as interrupting the flow of the text, readers preferred simpler versions, although the inclusion of annotations or supplementary explanations increased its acceptance.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fidelity, readability, and the balance between cultural and emotional information significantly affect reader reception. Moreover, while students who chose the alternative translations tended to perceive greater degrees of difference and significance, those who chose the existing translations often recognized these differences at a similar level. In cases like the translation of sambakja (three-piece suit), both groups rated the significance of the difference highly, revealing fractures in how fidelity is judged by readers. Additionally, differences in emotional information highlighted the intersection of various factors, including socio-economic context. Thus, reader judgments are not fixed but reveal points of tension and fracture. The translation process involves the original text, the translator, and the imagined reader, making such fractured reader analysis both necessary and urgent. The survey itself, premised on the impossibility of a perfect translation, proved educational, raising participants’ awareness of the cultural boundaries involved in translation. Through proposing their own translation alternatives, students actively intervened in the field of translation, making this a key educational process. Comparative discussions—such as the example of the German Rückentrage, similar to the Korean jigae—also broadened the scope of cultural exchange. In conclusion, the study empirically demonstrates that reader responses to translation errors and differences are shaped by intersecting linguistic, economic, political, and cultural contexts. Elements such as fidelity, readability, and the delivery of cultural information all contribute to reader reception and its inherent tensions. Despite limitations in the number of participants and the scope of the texts examined, the study ... KCI Citation Count: 0
ISSN:1229-5485
2671-8847
DOI:10.35559/TJOH.6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