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 금오산 화산암류의 SHRIMP U-Pb 연대측정과 칼데라 함몰 시기

구미분지에서 금오산 화산암류는 안산암질암류, 유문암질암류와 암맥류로 구분된다. 우리는 저어콘 분리가 가능한 층서단위에 대해 SHRIMP U-Pb 연대측정을 실시함으로써 이들의 분출 혹은 관입 시기를 명확히 하고 칼데라 함몰 시기를 토론한다. 연대측정에 의하면, 안산암질암류에서 부상리안산암은 75.3±1.4 Ma에 집중되는 일치곡선 연대를 나타낸다. 유문암질암류에서 오봉리응회암은 74.77±0.78 Ma, 도선굴유문암은 74.4±1.2 Ma, 금오산응회암은 74.2±1.1 Ma에 집중되는 일치곡선 연대를 나타낸다. 그리고 유문암맥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지질학회지, 61(2) pp. 149 - 158
Main Authors 황상구, 조인화, 기원서, 송교영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지질학회 01.06.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구미분지에서 금오산 화산암류는 안산암질암류, 유문암질암류와 암맥류로 구분된다. 우리는 저어콘 분리가 가능한 층서단위에 대해 SHRIMP U-Pb 연대측정을 실시함으로써 이들의 분출 혹은 관입 시기를 명확히 하고 칼데라 함몰 시기를 토론한다. 연대측정에 의하면, 안산암질암류에서 부상리안산암은 75.3±1.4 Ma에 집중되는 일치곡선 연대를 나타낸다. 유문암질암류에서 오봉리응회암은 74.77±0.78 Ma, 도선굴유문암은 74.4±1.2 Ma, 금오산응회암은 74.2±1.1 Ma에 집중되는 일치곡선 연대를 나타낸다. 그리고 유문암맥은 72.1±2 Ma의 가장 젊은 겉보기 연대를 가진다. 이 자료는 금오산 칼데라 주변에서 일어났던 각 층서단위의 분출 혹은 관입 시기를 확실케 한다. 안산암질 화산작용은 적어도 75.3 Ma 무렵에 있었으며 유문암질 화산작용은 74.77 Ma부터 폭발성 분출로 시작되어 74.4 Ma 무렵에 분류성 분출로 전환되었다. 금오산 칼데라는 74.2 Ma 무렵 대규모 금오산응회암의 폭발성분출에 의한 함몰로 형성되었고 72.1 Ma 무렵 환상 단열대를 따라 유문암맥의 주입으로 끝났다. 따라서 칼데라 함몰은 74.2~72.1 Ma 기간에 일어났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 기간에 화쇄류 분출-칼데라 함몰-환상암맥 관입으로 연결되는 칼데라윤회를 겪었다. In the Gumi Basin, the Geumosan volcanic rocks are classified into andesitic rocks, rhyolitic rocks, and dykes. We clarify their eruption or intrusion timings and discuss the caldera collapse timing by SHRIMP U-Pb dating on the stratigraphic units from where the zircon crystals can be separated. The datings yield the coincidence curve ages concentrated at 75.3±1.4 Ma on Busangri Andesite in the andesitic rocks, 74.77±0.78 Ma on Obongri Tuff, 74.4±1.2 Ma on Doseongul Rhyolite and 74.2±1.1 Ma on Geumosan Tuff in the rhyolitic rocks. In addition, the ring dyke rhyolite presents the youngest apparent age of 72.1±2 Ma. These results constrain the timings of the eruption or intrusion of each stratigraphic unit associated with the Geumosan caldera. The andesitic volcanism occurred at least around 75.3 Ma, and the rhyolitic volcanisms began with an explosive eruption around 74.77 Ma and turned into an effusive eruption around 74.4 Ma. The Geumosan caldera was formed by the collapse caused by the explosive eruption of the voluminous Geumosan Tuff around 74.2 Ma, and ended by the injection of the rhyolite dykes along the ring fracture zones around 72.1 Ma. Therefore, the caldera collapse is estimated to have occurred between 74.2 and 72.1 Ma. During the period 2.1 Myr, the volcanisms underwent a caldera cycle leading to ignimbrite eruption, caldera collapse, and ring-dyke intrusion.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dx.doi.org/10.14770/jgsk.2025.013
ISSN:0435-4036
2288-73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