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특수교육 고교학점제 연구동향 및 지원요구 고찰: 교육과정 실행을 중심으로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육 고교학점제가 본격적으로 도입되는 시점에서 국내 특수교육 고교학점제의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통합교육 고교학점제와 특수학교 고교학점제의 지원요구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PRISMA절차에 따라 24편의 특수교육 고교학점제에 대한 분석대상논문을 선정했다. 본 연구는 출판연도, 고교학점제 유형(통합교육, 특수학교), 연구대상 등에 따라 특수교육 고교학점제의 연구동향을 분석했고, 특수교육 고교학점제를 통합교육 고교학점제와 특수학교 고교학점제로 구분하여 각각의 지원요구를 고찰했다. 연구결...
Saved in:
Published in | 특수교육논총, 41(2) pp. 131 - 157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특수교육연구소
01.05.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466-1872 2672-104X |
Cover
Summary: |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육 고교학점제가 본격적으로 도입되는 시점에서 국내 특수교육 고교학점제의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통합교육 고교학점제와 특수학교 고교학점제의 지원요구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PRISMA절차에 따라 24편의 특수교육 고교학점제에 대한 분석대상논문을 선정했다. 본 연구는 출판연도, 고교학점제 유형(통합교육, 특수학교), 연구대상 등에 따라 특수교육 고교학점제의 연구동향을 분석했고, 특수교육 고교학점제를 통합교육 고교학점제와 특수학교 고교학점제로 구분하여 각각의 지원요구를 고찰했다. 연구결과: 첫째, 특수교육 고교학점제의 연구동향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특수교육 고교학점제는 고등학교 과정에 재학 중인 특수교육대상자의 특수교육 현황 및 배치기관별 특성을 다소 고려하지 못한 교육부 주도의 급진적인 하향식 교육혁신으로 볼 수 있다. 둘째, 통합교육 고교학점제는 편성․운영에서 특수교육대상학생을 고려한 선택과목 개설․평가․이수기준을 담은 단위학교 규정의 개정, 통합교육 고교학점제 모델에 따른 실례의 보급, 이동 및 공강 시간 지원 인력 배치를 요구했고, 환경개선에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공동 책무성 공유, 특수교사 대상 고교학점제 연수, 이동 및 공강 시간 지원 인력을 요구했다. 또한, 특수학교 고교학점제는 환경개선에서 특수학교 고교학점제 도입으로 교과교실제 전환에 따른 추가 공간의 확보,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이동 및 공강 시간 지원 인력을 요구했고, 인식에서 특수학교 교사의 전문성 제고 연수를 요구했다. 결론: 특수교육 고교학점제는 교육부 주도의 급진적인 하향식 교육혁신으로 특수교사에 의해 합목적적이고 효과적으로 운영되기를 기대하기 어렵다. 이에 교육부 차원에서 통합교육 고교학점제에서는 통합교육 고교학점제 운영 지침 및 모델의 제공,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연수, 지원 인력이 우선적으로 요구되고, 특수학교 고교학점제에서는 특수학교 내 추가 공간의 확보 및 재구조화, 지원 인력, 특수학교 교사 연수가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and support needs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special education and examined the support needs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inclusive education and special schools. Method: Following the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framework, 24 studies were selected. Results: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vealed that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special education was implemented as a top-down initiative l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with insufficient consideration given to the actual educational needs and placement setting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high schools. Also, 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inclusive education, the main support needs are revising school regulations to include elective subject, assessment, and completion criteria suitabl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t is also necessary to share examples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model in inclusive educational settings and provide support staff for transitions and break times. Environmental improvements require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share responsibilitie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wi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within the credit system. Additionally, 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of special schools, the main support needs include securing additional space due to the shift to subject-based classrooms, providing support staff for transitions and break times, and offering professional training to special school teachers. Conclusion: To ensure the effective op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special educat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must provide support that aligns with the specific needs of both the inclusive education and special school credit system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2466-1872 2672-104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