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봉사동기와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적극행정 매개효과 분석
본 연구는 동기요인인 공공봉사동기,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적극행정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중앙부처 소속 공무원 41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공공봉사동기,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적극행정과 업무성과에 각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구성요인 중 공공봉사호감도, 동정심, 자기희생, 능력감, 자기결정성은 적극행정에, 공공가치몰입, 동정심, 능력감은 업무성과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조직학회보, 22(1) pp. 43 - 91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조직학회
01.04.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738-3595 2671-5864 |
DOI | 10.21484/kros.2025.22.1.43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동기요인인 공공봉사동기,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적극행정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중앙부처 소속 공무원 41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공공봉사동기,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적극행정과 업무성과에 각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구성요인 중 공공봉사호감도, 동정심, 자기희생, 능력감, 자기결정성은 적극행정에, 공공가치몰입, 동정심, 능력감은 업무성과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적극행정은 업무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적극행정 제도 운영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근거로써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마지막으로 동기요인과 업무성과와의 관계에서 적극행정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공무원의 동기요인을 개발하고 강화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적극행정 제도와 연계하는 방향으로 관련 제도를 설계하고 운영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적극행정 관련 연구의 확장에 기여한 점에서 의의가 있으나, 후속 연구를 통해 연구모델이 지니는 한계를 보완할 필요성 또한 존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proactive administr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factors such as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on work performance. To this end,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survey data from 410 civil servants belonging to central government agenc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proactive administration and work performance. Among the sub-factors, attraction to public service, compassion, self-sacrifice, competence, and self-determination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proactive administration, while commitment to public values, compassion, competence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work performance. Next, proactive administration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work performance. These result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as a basis for confirm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oactive administration system. Finally, the mediating effect of proactive administration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factors and work performance. Thes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sign and operate related systems in the direction of developing and strengthening civil servants' motivation factors and linking them with the proactive administration system.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research on proactive administration, but there is also a need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the research model through follow-up research.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https://kaos.or.kr/board/board_view.php?bbs_id=docs&kbbs_doc_num=512&page=1&searchtype=kbbs_ext3&searchword=%C7%D0%C8%B8%BA%B8 |
ISSN: | 1738-3595 2671-5864 |
DOI: | 10.21484/kros.2025.22.1.4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