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력과 조직지원인식이 적극행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공무원의 협력과 업무과부하에 대한 조직지원인식이 적극행정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최근 공직사회는 급변하는 환경과 다양한 사회적 난제에 대응하기 위해 적극행정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대응하여 정부는 적극행정 촉진을 위해 다양한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그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협력과 조직지원인식이 공무원의 적극행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특히 업무과부하가 이러한 관계에 미치는 부정...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조직학회보, 22(1) pp. 93 - 120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조직학회
01.04.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738-3595 2671-5864 |
DOI | 10.21484/kros.2025.22.1.93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공무원의 협력과 업무과부하에 대한 조직지원인식이 적극행정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최근 공직사회는 급변하는 환경과 다양한 사회적 난제에 대응하기 위해 적극행정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대응하여 정부는 적극행정 촉진을 위해 다양한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그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협력과 조직지원인식이 공무원의 적극행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특히 업무과부하가 이러한 관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조직지원인식이 어떻게 완화할 수 있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실증분석 결과, 협력과 조직지원인식은 적극행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업무과부하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조직지원인식이 강화될 경우, 업무과부하의 부정적 영향이 완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정부와 공공기관이 공무원들의 적극행정을 촉진하기 위해 협력 구조 개선과 조직지원인식 강화를 위한 정책적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는 공공부문의 직무 설계 및 관리 전략 수립에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정책 개발 및 효과성 평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impact of collaboration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proactive administration among civil servants. In recent years, the importance of proactive administration has been emphasized in the public sector to respond effectively to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and various societal challenges. Consequently, the government has been making efforts to promote proactive administration through various policy initiatives. However, there is still a lack of research on the factors that can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se initiatives. This study examines how collaboration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nfluence civil servants' proactive administration and focuses on how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can mitigate the negative effects of job overload on this relationship. The empirical analysis reveals that collaboration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ve a positive impact on proactive administration, while job overload negatively affects it. However, the negative impact of job overload tends to be alleviated whe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s strong. These findings suggest that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s should prioritize improving collaboration structures and enhancing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to promote proactive administration among civil servants. Furthermore, this study provides essential insights for designing and managing public sector jobs and can contribute to future policy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evaluation.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https://kaos.or.kr/board/board_view.php?bbs_id=docs&kbbs_doc_num=513&page=1&searchtype=kbbs_ext3&searchword=%C7%D0%C8%B8%BA%B8 |
ISSN: | 1738-3595 2671-5864 |
DOI: | 10.21484/kros.2025.22.1.9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