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 세대 공무원의 직무자율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직무만족과 혁신행동의 이중매개효과와 공공봉사동기의 조절된 매개효과

본 연구는 MZ 세대 공무원들의 직무자율성이 직무만족과 혁신행동을 매개하여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관계에서 공공봉사동기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연구결과로 첫째, 직무자율성은 직무만족과 혁신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이직의도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은 혁신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이직의도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혁신행동은 이직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넷째, MZ세대 공무원의 직무자율성과 이직의도 간 관계에서 직무만족과 혁신행동의 이중매개효과가 있었고...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조직학회보, 22(1) pp. 121 - 154
Main Authors 고현종, 이효진, 송방현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조직학회 01.04.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738-3595
2671-5864
DOI10.21484/kros.2025.22.1.12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MZ 세대 공무원들의 직무자율성이 직무만족과 혁신행동을 매개하여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관계에서 공공봉사동기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연구결과로 첫째, 직무자율성은 직무만족과 혁신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이직의도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은 혁신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이직의도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혁신행동은 이직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넷째, MZ세대 공무원의 직무자율성과 이직의도 간 관계에서 직무만족과 혁신행동의 이중매개효과가 있었고, 공공봉사동기는 이러한 관계에서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었다. 연구의 함의로 첫째, 공공봉사동기가 높은 공무원의 경우 혁신행동이 증가할수록 오히려 이직의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공공봉사동기가 높은 공무원들이 조직에 대한 기여를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자신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나 혁신행동이 반영되지 않을 경우 좌절감을 느껴 이직을 고려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MZ 세대 공무원들의 직무자율성은 이직의도를 완화하는데 효과가 있었으며, 이에 따라 자율성을 높일수 있도록 유연한 근무환경 제공과 직무 설계 등 정책적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job autonomy on turnover intention among MZ generation public servants, mediated by job satisfaction and innovative behavior, and verifies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PSM) in this relationship.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job autonomy positively influenced both job satisfaction and innovative behavior but negatively affected turnover intention. Second, job satisfaction positively influenced innovative behavior but negatively affected turnover intention. Third, innovative behavior positively influenced turnover intention. Fourth, there was a dual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and innovative behavi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autonomy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MZ generation public servants. Additionally, public service motivation moderated the mediation effect within this relationship. Implications of the study include the following: First, it was found that public servants with high public service motivation tend to exhibit higher turnover intention as their innovative behavior increases. This suggests that while highly motivated public servants place significant importance on contributing to the organization, they may experience frustration and consider turnover if their creative ideas or innovative behaviors are not recognized or implemented within the organization. Second, job autonomy effectively mitigated turnover intention among MZ generation public servants. Based on this finding,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policy improvements, such as providing flexible working environments and redesigning job roles to enhance autonomy.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s://kaos.or.kr/board/board_view.php?bbs_id=docs&kbbs_doc_num=514&page=1&searchtype=kbbs_ext3&searchword=%C7%D0%C8%B8%BA%B8
ISSN:1738-3595
2671-5864
DOI:10.21484/kros.2025.22.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