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웨덴 정부의 조정과 자율 거버넌스 탐색: 코로나19 대응 사례

이 논문은 스웨덴 정부의 자율과 조정 거버넌스를 탐색하고 코로나19 위기에 정치와 행정 체제가 어떻게 대응했는지 연구한 것이다. 이 글은 정책결정 기관의 조정과 정책집행 기관의 자율성에 초점을 두고 팬데믹 사례를 분석했다. 스웨덴은 700년 헌정사를 통해 의회민주주의를 발전시키고 집행부 권한을 제약해왔다. 또한 주민자치를 바탕으로 강력한 지방자치제도를 정착시켰다. 총리와 중앙부처를 포함한 중앙행정부의 권한과 규모는 작지만 정책집행을 담당하는 공공기관과 지방정부의 자율성이 강하다. 이러한 거버넌스 특징은 평시 민주적이고 효율적인 정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조직학회보, 22(1) pp. 1 - 41
Main Author 최희경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조직학회 01.04.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738-3595
2671-5864
DOI10.21484/kros.2025.22.1.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이 논문은 스웨덴 정부의 자율과 조정 거버넌스를 탐색하고 코로나19 위기에 정치와 행정 체제가 어떻게 대응했는지 연구한 것이다. 이 글은 정책결정 기관의 조정과 정책집행 기관의 자율성에 초점을 두고 팬데믹 사례를 분석했다. 스웨덴은 700년 헌정사를 통해 의회민주주의를 발전시키고 집행부 권한을 제약해왔다. 또한 주민자치를 바탕으로 강력한 지방자치제도를 정착시켰다. 총리와 중앙부처를 포함한 중앙행정부의 권한과 규모는 작지만 정책집행을 담당하는 공공기관과 지방정부의 자율성이 강하다. 이러한 거버넌스 특징은 평시 민주적이고 효율적인 정부 운영에 기여했다. 그러나 코로나19 대응에서 스웨덴의 분권적 거버넌스는 한계를 드러냈다. 정부는 규제를 최소화하고 권고지침 중심의 연성전략에 치중했는데 이런 결정에는 시민의 자유와 기본권을 우선하는 헌법 규범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의회와 중앙행정부는 개인의 자율성을 기대하는 한편 담당 공공기관의 전문적 판단과 지방정부의 방역행정에 의존했다. 스웨덴의 분권체제와 조정 방식, 공공기관의 자율적 운영, 강한 지방자치는 한국의 집권형 체제가 보완책을 탐색하는 데 참고가 된다. 헌법이 명목에 그치지 않고 정부 운영에 실질적 기준이라는 점도 주목된다. 한편 스웨덴의 코로나19 대응은 정부가 개인의 자율과 책임을 실체적인 정책 요건으로 고려한 사례이다. 결과적으로 한계가 있었지만 그 패러다임 자체는 정부 만능주의를 경계하는 데 중요한 의미가 있다. This study explores the governance of autonomy and coordination in the Swedish government, focusing on its operation during the COVID-19 response. The Swedish government is fundamentally characterized by its strict adherence to the constitution, which serves as the foundation for the politics-administration separation and dualism between the Government Office (Regeringskansliet), which consists of the cabinet and central ministries, and public agencies. Decision-making in the cabinet is collective, which prevents ministers from exercising control over their respective departments and affiliated public agencies. Political coordination among policies and public organizations is conducted in a passive manner through informal yet active communication. Furthermore, public agencies and local governments are granted a high degree of autonomy by both the constitution and political norms. These components have contributed to the democratic and efficient government under normal conditions. In line with its established governance framework, Sweden pursued a soft strategy with minimal regulatory interventions during the pandemic; however, this approach resulted in a significant loss of lives. The Swedish COVID-19 response was largely shaped by the constitutional provision that citizens’ fundamental rights cannot be restricted except in times of war or imminent threat of war. Notably, both the parliament and the Government Office excessively relied on the “expertise” of the Public Health Agency, thereby voluntarily diminishing their own leadership. Sweden’s decentralized governance and autonomous administration contrast with those of South Korea, providing diverse implications.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s://kaos.or.kr/board/board_view.php?bbs_id=docs&kbbs_doc_num=511&page=1&searchtype=kbbs_ext3&searchword=%C7%D0%C8%B8%BA%B8
ISSN:1738-3595
2671-5864
DOI:10.21484/kros.2025.2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