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대적 가치에 기반한 자산재평가 동기 및 기업가치 변화

국제회계기준(IFRS) 도입에 따라 한국 회계기준도 IFRS와의 정합성을 높이기 위해 재평가 모형을 도입하였다. 이를 통해 유형자산을 보다 실질적인 가치에 근거하여 평가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는 기업의 상대적 가치가자산 재평가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자산 재평가를 실시한 기업들을 대상으로 유형자산 대비재평가 금액 비중에 따른 상대적 기업가치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또한 유형자산 대비 재평가 금액이 상대적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이 부채비율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2015~2023년 코스...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대한경영학회지, 38(4) pp. 829 - 846
Main Author 권오홍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경영학회 01.04.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2234
2465-883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국제회계기준(IFRS) 도입에 따라 한국 회계기준도 IFRS와의 정합성을 높이기 위해 재평가 모형을 도입하였다. 이를 통해 유형자산을 보다 실질적인 가치에 근거하여 평가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는 기업의 상대적 가치가자산 재평가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자산 재평가를 실시한 기업들을 대상으로 유형자산 대비재평가 금액 비중에 따른 상대적 기업가치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또한 유형자산 대비 재평가 금액이 상대적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이 부채비율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2015~2023년 코스피 및 코스닥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TOBIN’S Q와 PBR을 활용하여 상대적 기업가치를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대적 기업가치가 낮은 기업일수록 자산 재평가를 실시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자산 재평가를 선택한 기업 중에서 유형자산 대비 재평가 금액 비중이 클수록, 이전 연도보다 재평가 연도에 상대적 기업가치가 더욱 감소하였다. 셋째, 유형자산 대비 재평가 금액 비중과 상대적 기업가치는 전반적으로 음(-)의 관계를 보였으나, 부채비율이 높은 기업에서는 양(+)의 관계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들이 자산 재평가 선택 동기를 주로 재무적 요인에서 분석한 것과 달리, 상대적 기업가치 또한 기업의 재평가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였다. 또한, 자산 재평가가 상대적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분석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산 재평가를 활용하여 기업가치를 개선하려는 기업들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With the adoption of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IFRS), Korea has aligned its accounting standards with IFRS by introducing the revaluation model. This allows tangible assets to be assessed based on their fair value.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firms’ relative valuation on their decision to opt for asset revaluation. Also, it investigates changes in relative firm value before and after revaluation, based on the proportion of asset revaluation relative to tangible assets. This study analyzes firms listed on the KOSPI and KOSDAQ markets from 2014 to 2023, using TOBIN’S Q and the Price-to-Book Ratio (PBR) to measure relative firm value.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firms with lower relative firm value are more likely to conduct asset revaluation. Second, among firms that opted for revaluation, those with a higher proportion of revalued assets relative to total tangible assets experienced a greater decline in relative firm value in the revaluation year. Third, while the proportion of asset revaluation relative to tangible assets generally exhibited a negative (-) relationship with relative firm value, a positive (+) relationship was observed in firms with high debt ratios.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primarily analyzed the motivations for asset revaluation from a financial perspective, this study highlights the influence of relative firm value on the revaluation decision. Furthermore, it provides a long-term perspective on the impact of asset revaluation on firm value. The findings offer meaningful insights for firms seeking to enhance their value through asset revaluation. KCI Citation Count: 0
ISSN:1226-2234
2465-88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