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더화된 유성애규범성과 무성애적 페미니즘 –정치적 무성애를 통해 내러티브 독해하기

이 논문은 무성애적 페미니즘이라는 시각을 통해 유성애규범성이 이성애 남성의 남성성 구성 과정과 결부된 채 젠더화되어 있음을 밝히고, 정치적 무성애의 관점을 내러티브 독해와 젠더적 정동 독해의 매개로 변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실천으로써 김금희의 대표작 「너무 한낮의 연애」를 무성애적 페미니즘의 관점에 입각하여 재독해하고자 하는데, 이를 통해 향후 국내 젠더 섹슈얼리티 연구 및 퀴어 페미니즘 문학 연구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그간 「너무 한낮의 연애」는 세기말의 중요한 시대 감수성을 반영하는 소설이자 로맨스 서사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여성문학연구, 0(64) pp. 284 - 308
Main Author 권다영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여성문학학회 01.04.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4632
2733-5925
DOI10.15686/fkl.2025..64.28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이 논문은 무성애적 페미니즘이라는 시각을 통해 유성애규범성이 이성애 남성의 남성성 구성 과정과 결부된 채 젠더화되어 있음을 밝히고, 정치적 무성애의 관점을 내러티브 독해와 젠더적 정동 독해의 매개로 변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실천으로써 김금희의 대표작 「너무 한낮의 연애」를 무성애적 페미니즘의 관점에 입각하여 재독해하고자 하는데, 이를 통해 향후 국내 젠더 섹슈얼리티 연구 및 퀴어 페미니즘 문학 연구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그간 「너무 한낮의 연애」는 세기말의 중요한 시대 감수성을 반영하는 소설이자 로맨스 서사로 통용되어왔다. 그러나 본고는 이 소설을 가부장 각본의 순탄한 이행이 붕괴되는 세기말의 조건 속 헤게모니적 남성성의 위기가 대두되는 가운데, 중심인물이 연애 정상성의 이행을 통해 남성성의 회복을 추구하고자 하는 서사로 읽고자 한다. 그리하여 중심인물의 강박적인 심리가 보다 분명하게 드러남은 물론, 소설이 발표되고 논의되었던 2010년대 중반 당시의 비평 논의가 유성애규범성에 어떠한 인식을 드러내고 있었는지도 반성적으로 돌아볼 수 있을것이다. Through a perspective of Asexual feminism, this thesis aims to reveal that allosexuality is gendered in connection with the process of constructing masculinity of heterosexual men, and to transform the perspective of political asexuality into a medium of narrative reading and gender-affective reading.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contribute to the study of gender sexuality and queer feminism literature in Korea in the future. “Love in Too Middle of the Day” has been considered a romance short story. However, this thesis intends to read the short story as a narrative in which the central character seeks to restore masculinity through the allonormativity amid the crisis of hegemonic masculinity in the conditions of the end of the century when the smooth implementation of the patriarchal script collapses. Through this rereading, it will be possible to reflect on how the critical discussion at the time of the mid-2010s revealed the perception of allosexuality. KCI Citation Count: 0
ISSN:1229-4632
2733-5925
DOI:10.15686/fkl.2025..64.2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