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4·3과 고양이 상자 –한강의 『작별하지 않는다』에 나타난 양자 은유의 의미

본 논문은 한강의 소설 『작별하지 않는다』에 나타난 양자역학적 은유를 통해 제주 4·3의 서사화 방식과 의미를 분석하였다. 소설은 ‘슈뢰딩거의 고양이’와 같은 양자중첩의 원리를 문학적으로 전유하여 역사적 사건의 재현 불가능성을 새로운 관점에서 조명한다. 작품에서 반복되는 ‘생각하다’라는 서술어는 양자역학의 관찰자 효과와 유사하게, 생각하는 행위가 대상의 존재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양상을 보여준다. 또한 ‘눈’의 이미지는 전환의 매개체, 복합 상태의 표현, 순환과 연결의 상징, 그리고 역사적 트라우마가 개인의 삶에 침전되는 방식을 형...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여성문학연구, 0(64) pp. 340 - 373
Main Author 우미영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여성문학학회 01.04.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4632
2733-5925
DOI10.15686/fkl.2025..64.340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논문은 한강의 소설 『작별하지 않는다』에 나타난 양자역학적 은유를 통해 제주 4·3의 서사화 방식과 의미를 분석하였다. 소설은 ‘슈뢰딩거의 고양이’와 같은 양자중첩의 원리를 문학적으로 전유하여 역사적 사건의 재현 불가능성을 새로운 관점에서 조명한다. 작품에서 반복되는 ‘생각하다’라는 서술어는 양자역학의 관찰자 효과와 유사하게, 생각하는 행위가 대상의 존재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양상을 보여준다. 또한 ‘눈’의 이미지는 전환의 매개체, 복합 상태의 표현, 순환과 연결의 상징, 그리고 역사적 트라우마가 개인의 삶에 침전되는 방식을 형상화한다. 소설 속 인물들은 관찰자와 관찰 대상의 경계가 흐려지는 ‘관계주체’로서, 제주4·3이라는 사건을 단일한 해석으로 고정하지 않고 여러 가능성이 공존하는 중첩상태로 경험한다. 특히 ‘세천리의 밤’이라는 시간은 역사적 사건이 관찰되기 이전의 중첩 상태처럼, 다양한 해석이 공존하는 열린 가능성의 시간으로 제시된다. 이를 통해 소설은 역사적 트라우마의 재현 불가능성을 넘어 과거 사건의 현재성과 다층성을 깊이있게 성찰하는 윤리적·정치적 태도를 제시하며, 역사의 ‘빈자리’를 통해 새로운 해석과 기억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This paper analyzes the narrative techniques and meaning of the Jeju 4·3 through quantum metaphors in Han Kang’s novel We Do Not Part. The novel appropriates principles of quantum superposition, similar to “Schrödinger’s cat” , to illuminate historical events’ representational impossibility from a new perspective. The recurring verb “to think” in the text functions similarly to the observer effect in quantum mechanics, showing how the act of thinking influences the state of existence of its object. The image of “ snow” serves as a medium of transition, an expression of complex states, a symbol of circulation and connection, and a representation of how historical trauma becomes embedded in individual lives. Characters in the novel function as “relational subjects” where the boundaries between observer and observed blur, experiencing the Jeju 4·3 not as a fixed interpretation but as a superposition of coexisting possibilities. Particularly, the “night in Secheonri” represents a time like quantum superposition before observation, where various interpretations coexist in open possibility. Through this approach, the novel presents an ethical-political stance that acknowledges the contemporaneity and multi-layered nature of past events beyond the impossibility of representing historical trauma, exploring new possibilities for interpretation and memory through history’s “empty spaces”. KCI Citation Count: 0
ISSN:1229-4632
2733-5925
DOI:10.15686/fkl.2025..64.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