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mon_login_html
소음(소리) 해석과 그래픽 표기법 실험을 통한 기초 그래픽 디자인 교육 프레임워크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작업은 단순히 조형적 결과를 탐구하는 것을 넘어 데이터라는 대상을 어떻게 관찰하고 해석할 것인지에 관한 디자이너의 개입을 통해 이루어지는 관계 탐구이다. 이 연구는 지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외부적 요인, 이를테면 사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특정 지식, 관습, 이념, 인식, 서사를 최대한 제거한 관찰과 표현, 지각과 해석의 환경에서 디자인 학습자가 어떻게 자신의 경험과 관점을 표현의 범주 안으로 끌어들일 수 있는지를 관찰함으로써, 기초디자인 교과에서 학습자의 주관적 감각 경험이 어떻게 조형 표현에 영...
Saved in:
Published in | 기초조형학연구, 26(2) pp. 683 - 700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기초조형학회
01.04.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8635 2713-5993 |
DOI | 10.47294/KSBDA.26.2.47 |
Cover
Summary: |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작업은 단순히 조형적 결과를 탐구하는 것을 넘어 데이터라는 대상을 어떻게 관찰하고 해석할 것인지에 관한 디자이너의 개입을 통해 이루어지는 관계 탐구이다. 이 연구는 지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외부적 요인, 이를테면 사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특정 지식, 관습, 이념, 인식, 서사를 최대한 제거한 관찰과 표현, 지각과 해석의 환경에서 디자인 학습자가 어떻게 자신의 경험과 관점을 표현의 범주 안으로 끌어들일 수 있는지를 관찰함으로써, 기초디자인 교과에서 학습자의 주관적 감각 경험이 어떻게 조형 표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실험, 관찰, 기록, 평가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이를 위해, 도시의 소음(교통 소리, 대화 소리 등), 자연의 소리(바람 소리, 물방울 소리 등), 기계적 소음(팬 소음, 기계 작동음 등)을 포함하면서도 음악적 요소가 배제된 일상적 소음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고, 다양한 환경적 소음 포함: 도시 소음(교통 소리, 대화 소리 등), 자연 소음(바람 소리, 물방울 소리 등), 기계 소음(팬 소음, 기계 작동음 등) 따위의 구조화된 리듬이나 멜로디가 배제된 원초적 소리 또는 소음을 지각 데이터의 범위로 삼았다. 그 이유는 문법화되지 않은 소음 혹은 소리는 구조화, 의미화되기 이전의 보다 근원적 감각 데이터이기 때문에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소재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같은 이유로 연구의 대상도 상대적으로 학습된 조형 훈련도가 낮은 시각 디자인전공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삼았다. 연구는 수집한 감각 데이터를 분석하고 재구성하는 방법으로 진행했다. 이 연구를 통해 이런 물리적 조건과 교수 방법이 디자인 학습자의감각 데이터 지각, 해석, 표현에 상상력과 창의성 증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교수자, 학습자 모두 감각적 사고와 조형 표현이 어떤 것인지 그 본질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를 얻을 수 있었다. The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ata and visual expression goes beyond the mere production of aesthetic outcomes; it delves into the designer’s active engagement in observing and interpreting the subject. This study focuses on environments free from external influences—such as preconceived knowledge, customs, ideologies, perceptions, and narratives—allowing for a purer observation and expression process. By analyzing how design students incorporate their personal experiences and perspectives into the framework of expression, this research examines the influence of subjective sensory experiences on visual representation within foundational design education. The scope of this study encompasses everyday noise—urban sounds (e.g., traffic, conversations), natural sounds (e.g., wind, raindrops), and mechanical noises (e.g., fan hums, operational machinery)—excluding structured musical elements. This focus on raw auditory stimuli, unstructured and devoid of semantic associations, provides a fundamental sensory dataset optimal for minimizing interpretative bias and enabling creative explorat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first-year undergraduate visual design students, selected for their relatively limited exposure to established design methodologies. The experimental process involved collecting sensory data, analyzing it, and reconfiguring it through visual representation. The findings reveal that physical conditions and teaching methodologies play a pivotal role in enhancing the creativity and imagination of design students. This investigation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a sensory-driven approach to understanding and practicing design, offering both instructors and students critical insights into the essence of sensory-driven creative processes.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89&idx=2832 |
ISSN: | 1598-8635 2713-5993 |
DOI: | 10.47294/KSBDA.26.2.4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