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자 구술로 살펴본 익산 인화동의 장소성 연구
이 논문은 전북 익산시의 인화동을 통해 지역사회의 장소성과 정체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현재 전북 익산시는 1995년 도농통합 이전 이리시와 익산군이 나뉘어 있었다. 여기서 주목하는 지역이 바로 옛 이리시의 근원이라 할 수 있는 인화동이다. 옛 이리는 전통적인 향촌 세력이 발달하지 못 한 지역이다. 실제 기록에 따르면 옛 이리는 10여 호의 가구만 거주하던 한촌이었다. 일제의 입장에서 이리는 전통사회의 저항과 그에 따른 갈등 없이 개발이 가능한 공간이었다. 이렇게 이리역을 중심으로 일본인의 공간 중앙동이 생기고, 옛 이리시의 근원인...
Saved in:
Published in |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26(1) pp. 49 - 78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인문학연구소
01.04.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738-7701 2671-7018 |
Cover
Summary: | 이 논문은 전북 익산시의 인화동을 통해 지역사회의 장소성과 정체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현재 전북 익산시는 1995년 도농통합 이전 이리시와 익산군이 나뉘어 있었다. 여기서 주목하는 지역이 바로 옛 이리시의 근원이라 할 수 있는 인화동이다.
옛 이리는 전통적인 향촌 세력이 발달하지 못 한 지역이다. 실제 기록에 따르면 옛 이리는 10여 호의 가구만 거주하던 한촌이었다. 일제의 입장에서 이리는 전통사회의 저항과 그에 따른 갈등 없이 개발이 가능한 공간이었다. 이렇게 이리역을 중심으로 일본인의 공간 중앙동이 생기고, 옛 이리시의 근원인 인화동은 구(舊)이리라고 불리게 된다. 근대 식민도시 ‘이리’의 탄생이다.
빠르게 진행된 도시개발에 노동력을 필수였고, 발달한 교통 덕분에 이리시는 이리역을 중심으로 주변 지역의 노동력을 빠르게 흡수하게 이른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화교, 피란민, 일용직 노동자 등 다양한 이주자가 이리시 인화동에 모이게 된다.
이 논문은 익산 인화동의 다양한 이주자에 대한 삶의 모습, 그들의 정체성 더 나아가 원주민과의 갈등과 융합 모습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익산 인화동의 장소성과 정체성을 밝혀낼 수 있었다. 이러한 작업을 위해 본 연구는 익산시 인화동 주민에 대한 구술채록을 진행했다. This thesis aims to examine the location and identity of the local community through Inhwa-dong, Iksan-si, Jeollabuk-do. Currently, Iksan-si, Jeollabuk-do, was divided into Iri-si and Iksan-gun before the urban-rural integration in 1995. The area we pay attention to here is Inhwa-dong, which can be said to be the source of the old Iri-si.
The old I-ri is an area where traditional Hyangchon forces did not develop. According to actual records, the old I-ri was a village where only about 10 households lived. From the perspective of Japanese imperialism, I-ri was a space that could be developed without resistance from traditional society and the resulting conflict. In this way, a Japanese space, Jungang-dong, was created around I-ri Station, and Inhwa-dong, the source of the old I-ri city, is called Gu(Old). It is the birth of the modern colonial city 'I-ri'.
Labor was essential for rapid urban development, and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the city quickly absorbs the labor force of the surrounding area around Iri Station. And in this process, various migrants, including overseas Chinese, refugees, and daily workers, gathered in Inhwa-dong, Iri City.
This paper examined the life of various migrants in Inhwa-dong, Iksan, their identity, and conflict and convergence with indigenous people. Through this, the location and identity of Iksan Inhwa-dong could be revealed. For this work, this study conducted oral records on residents of Inhwa-dong, Iksan.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738-7701 2671-7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