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인 지원병 포로감시원을 기억하는 두 가지 방식 - 이병주의 「마술사」(1968)와 선우휘의 「외면」(1976)을 중심으로
이 글은 이병주의 「마술사」(1968)와 선우휘의 「외면」(1976)을 대상으로, 태평양전쟁에 동원된 ‘조선인 지원병 포로감시원’을 기억하는 서사 전략을 비교한다. 이 두 작품은 65년 체제 직후 그리고 그 10주년을 기한 시점에, 서로 다른 방식으로 그들의 존재와 과거사 문제에 접근한다. 이병주는 실제 역사적 사실과는 반대되는, 이상적인 당위의 역사를 통해 억울하게 희생된 그들의 존재를 위로하고자 하였다. 반면 선우휘는 실제 조선인 BC급 전범의 역사를 직시하면서도, 그 자신 세대이기도 한 식민화된 주체의 분열과 혼란을 응시한다....
Saved in:
Published in |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26(1) pp. 183 - 207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인문학연구소
01.04.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738-7701 2671-7018 |
Cover
Summary: | 이 글은 이병주의 「마술사」(1968)와 선우휘의 「외면」(1976)을 대상으로, 태평양전쟁에 동원된 ‘조선인 지원병 포로감시원’을 기억하는 서사 전략을 비교한다. 이 두 작품은 65년 체제 직후 그리고 그 10주년을 기한 시점에, 서로 다른 방식으로 그들의 존재와 과거사 문제에 접근한다. 이병주는 실제 역사적 사실과는 반대되는, 이상적인 당위의 역사를 통해 억울하게 희생된 그들의 존재를 위로하고자 하였다. 반면 선우휘는 실제 조선인 BC급 전범의 역사를 직시하면서도, 그 자신 세대이기도 한 식민화된 주체의 분열과 혼란을 응시한다. 아울러 두 작품에는 당대 6, 70년대 한국사회의 정치현실에 대한 비판적 인식도 읽힌다. 이병주는 식민주의를 신봉했던 인물이 여전히 득세한 현실을 비판한다. 선우휘는 사카구치 안고의 ‘타락론’을 언급함으로써 국가담론에 포섭되지 않는 개인주체의 타락 가능성을 묻는다. 이는 특히 70년대 유신체제에 대한 유비적 비판으로 읽힐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두 작품은 역사에서 잊힌 조선인 포로감시원의 존재를 구체적인 인물로 형상화함으로써 서사에 전면화하고 있다. 이는 한국 문학사에서 쉬이 찾아보기 어려운 매우 특징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compares the narrative strategies employed to recall the "Korean prisoner-of-war guards" who were mobilized during the Pacific War, focusing on Lee Byeong-ju’s The Magician(1968) and Sunwoo Hwi’s Ignoring(1976). Published shortly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1965 system and on its tenth anniversary, these two works address the existence of these figures and the issue of historical memory through divergent approaches.
Lee Byeong-ju seeks to console those unjustly sacrificed by portraying an idealized and morally justified version of history that contrasts with historical reality. In contrast, Sunwoo Hwi directly confronts the history of Korean Class B/C war criminals, while also reflecting on the fragmentation and confusion of the colonized subject—a condition to which his own generation belongs.
Both works also demonstrate a critical awareness of the political realities of Korean society in the 1960s and 1970s. Lee Byeong-ju criticizes a society in which those who once upheld colonialism continue to thrive. Sunwoo Hwi, drawing on Sakaguchi Ango’s Darakuron, questions the potential for individuals to fall into moral decay outside the bounds of national ideology—an analogical critique that can be read as a commentary on the Yushin regime of the 1970s.
By representing the “Korean prisoner of war guards” as concrete characters, these works foreground figures largely forgotten in history. In doing so, they constitute rare and significant cases within the landscape of modern Korean literature.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738-7701 2671-7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