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동부지역의 신라와 백제 영역 변화 - 문헌기록을 중심으로
신라의 영토는 6세기 중반의 新州 설치 이후 급속 확대되었다. 신라는 아산만-국원성(충북 충주)-삼년산군(충북 보은)-감문주(경북 김천)로 연결되며 백제와 경계를 이루었다. 그러나 이러한 신라의 영역 상황은 고정적이지 않았기에 6~7세기에 신라와 백제 사이의 경계 변동을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6세기 중~후반의 진지왕 시기 신라와 백제의 무력 접촉은 3건이다. 기록상 당시 상황이 선명하지는 않지만 고령(대가야) 지산동이나 거창 개봉리, 남원 두락리, 장수 춘송리 고분에 보이는 신라계 유물이 나타난다. 이는 신라가 산청-남원 운봉-장...
Saved in:
Published in |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26(1) pp. 79 - 107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인문학연구소
01.04.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738-7701 2671-7018 |
Cover
Summary: | 신라의 영토는 6세기 중반의 新州 설치 이후 급속 확대되었다. 신라는 아산만-국원성(충북 충주)-삼년산군(충북 보은)-감문주(경북 김천)로 연결되며 백제와 경계를 이루었다. 그러나 이러한 신라의 영역 상황은 고정적이지 않았기에 6~7세기에 신라와 백제 사이의 경계 변동을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6세기 중~후반의 진지왕 시기 신라와 백제의 무력 접촉은 3건이다. 기록상 당시 상황이 선명하지는 않지만 고령(대가야) 지산동이나 거창 개봉리, 남원 두락리, 장수 춘송리 고분에 보이는 신라계 유물이 나타난다. 이는 신라가 산청-남원 운봉-장수 일대까지 일시적으로 진출한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와 반대로 진지왕 2~4년(577~579)에 신라가 일선군(경북 구미 선산)에서 백제군과 접전하였다는 기록도 보인다.
7세기 초반의 진평왕 시기는 총 11번의 전투를 벌었는데 아막성=모산성(남원 운봉), 늑노현, 속함성(함양), 앵잠성(함양 수동), 기잠성(합천 봉산), 주재성 등이다. 그중에 아막성은 신라가 가야 지역을 넘어 소백산맥 서쪽까지 진출하였다는 방증이다. 그러나 백제의 속함성(함양) 등 5성 함락은 신라가 전북 운봉→경남 함양→경남 서부 지역으로 퇴축하는 양상을 의미한다.
7세기 중엽의 선덕~진덕여왕 시기에도 신라는 여전히 백제의 공세에 노출되었다. 선덕여왕 11년(642)에 나라 서쪽 40여 성과 대야성(경남 합천) 등을 상실한다. 이 40여 성의 범위는 낙동강 서쪽의 합천・거창・의령・고령・성산・칠곡・구미 등이 포함된다. 비록 신라가 진덕여왕 2년(648)에 합천→거창 등을 되찾았지만 여전히 대야성(합천)의 서쪽에 위치한 지역 등은 신라의 영역 바깥이었다. 따라서 신라는 백제와 소백산맥 이동에서 낙동강 이서 지역을 두고 유동적인 국경선을 유지하였다. Silla’s territory expanded rapidly after the establishment of Sinju in the mid-6th century. Silla was connected to Asan Bay-Gukwonseong(Chungju, North Chungcheong Province)-Samnyeonsangun(Boeun, North Chungcheong Province)-Gammunju(Gimcheon, North Gyeongsang Province) and formed a border with Baekje. However, since this territorial situation of Silla was not fixed, we will examine the changes in the border between Silla and Baekje in the 6th and 7th centuries.
First, there were three instances of armed contact between Silla and Baekje during the reign of King Jinji in the mid to late 6th century. Although the situation at the time is not clear in the records, Silla relics appear in the tombs in Jisan-dong, Goryeong(Daegaya), Gaebong-ri, Geochang, Durak-ri, Namwon, and Chunsong-ri, Jangsu.
This means that Silla temporarily advanced into the Sancheong-Namwon Unbong-Jangsu area. However, on the contrary, there is also a record that Silla fought a battle with the Baekje army in Ilseon-gun (Seonsan, Gumi, North Gyeongsang Province) during the 2nd to 4th years of King Jinji’s reign(577-579).
During the reign of King Jinpyeong in the early 7th century, a total of 11 battles were fought, including Amakseong=Mosanseong(Namwon Unbong), Neuknohyeon, Sokhamseong(Hamyang), Aengjamseong(Hamyang Sudong), Gijamseong(Hapcheon Bongsan), and Jujaeseong.
Among them, Amakseong is evidence that Silla expanded beyond the Gaya region to the west of the Sobaek Mountains. However, the fall of Baekje’s five castles, including Sokhamseong(Hamyang), signified the retreat of Silla to Unbong in North Jeolla Province→Hamyang in South Gyeongsang Province→the western region of South Gyeongsang Province.
Even during the reign of Queen Seondeok and Queen Jindeok in the mid-7th century, Silla was still exposed to Baekje’s attacks. In the 11th year of Queen Seondeok’s reign(642), the country lost about 40 castles in the western part of the country and Daeyaseong(Hapcheon, South Gyeongsang Province). The range of these 40 provinces includes Hapcheon, Geochang, Uiryeong, Goryeong, Seongsan, Chilgok, and Gumi on the west side of the Nakdong River.
Although Silla regained Hapcheon and Geochang in the second year of Queen Jindeok’s reign(648), the areas located west of Daeya Castle(Hapcheon) were still outside Silla’s territory. Accordingly, Silla maintained a border line that was advancing and retreating between Baekje and the region west of the Nakdong River in the Sobaek Mountain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738-7701 2671-7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