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마비말장애 환자 대상 디지털 치료제 활용에 대한 언어재활사의 경험 및 견해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성인 마비말장애 환자에게 디지털 치료제를 이용한 임상적 중재에 대한 언어재활사의 견해를 조사하고, 성인 마비말장애 환자를 위한 디지털 치료제 개발을 위해 고려해야 할 요소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를 위해 국내 거주 중인 1, 2급 언어재활사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은 기본 정보, 성인 마비말장애 평가 및 중재 경험, 디지털 치료제 설명, 디지털 치료제 인식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결과: 첫째, 디지털 치료제 사용 경험이 있는 언어재활사는 절반 이하로, 주로 대상자의 참여와 관심 유지를...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언어치료연구, 34(2) pp. 1 - 10
Main Authors 김정은, 송태진, 나지영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언어치료학회 01.04.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25.34.2.00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본 연구는 성인 마비말장애 환자에게 디지털 치료제를 이용한 임상적 중재에 대한 언어재활사의 견해를 조사하고, 성인 마비말장애 환자를 위한 디지털 치료제 개발을 위해 고려해야 할 요소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를 위해 국내 거주 중인 1, 2급 언어재활사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은 기본 정보, 성인 마비말장애 평가 및 중재 경험, 디지털 치료제 설명, 디지털 치료제 인식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결과: 첫째, 디지털 치료제 사용 경험이 있는 언어재활사는 절반 이하로, 주로 대상자의 참여와 관심 유지를 위해 사용했으며, 사용 경험이 없는 언어재활사들은 정보 부족을 주된 이유로 꼽았다. 둘째, 디지털 치료제 사용에 적합한 영역으로는 신경말ㆍ언어장애가 선정되었고, 디지털 치료제 사용 시 중요 요소로는 대상자의 강ㆍ약점 분석이 1순위였다. 셋째, 언어재활사들은 디지털 치료제에서 얻은 데이터를 주로 대상자의 진행 상황 모니터링에 활용하였으며, 치료의 다양화 및 맞춤화와 같은 콘텐츠 개선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성인 마비말장애 환자를 위한 디지털 치료제 개발 시 언어재활사의 전문성이 반영된 데이터 기반 접근과 사용자 친화적인 설계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언어재활사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설계를 통한 접근성 개선이 디지털 치료제의 임상 현장 도입에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디지털 치료제의 효과적인 임상 적용을 위해서는 임상 전문가의 통찰력과 기술적 혁신 등 다학제적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디지털 치료제 연구의 기초를 마련하고 언어재활사의 전문성이 반영된 디지털 치료제가 단순한 기술적 도구를 넘어 실제 임상 현장에서 유의미하게 활용될 수 있는 도구로 발전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speech-language pathologists’ perspectives on clinical interventions using digital therapeutics for adults with dysarthria and to suggest factors to consider when developing digital therapeutics for these patient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00 level 1 and 2 certified speech-language pathologists residing in Korea. The survey consisted of sections on demographic information, experience in dysarthria assessment and intervention, explanation of digital therapeutics, and perspectives on digital therapeutics. Results: First, less than half of the speech-language pathologists had experience using digital therapeutics, primarily to maintain patient engagement and interest, while those without experience cited lack of information as the main reason. Second, neurogenic speech-language disorders were identified as the most suitable area for digital therapeutics application, with analysis of patients’ strengths and weaknesses rank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when using these tools. Third, speech-language pathologists mainly utilized data obtained from digital therapeutics to monitor patient progress and emphasized the need for content improvement, such as diversification and customization of treatment.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eveloping digital therapeutics for adults with dysarthria requires a data-driven approach reflecting speech-language pathologists’ expertise and user-friendly desig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for speech-language pathologists and intuitive interface design to improve accessibility were identified as important factors for introducing digital therapeutics in clinical settings. Effective clinical application of digital therapeutics requires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combining clinical insights with technological innovation. This study establishes a foundation for digital therapeutics research and hope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therapeutics that reflect speech-language pathologists’ expertise, evolving beyond mere technological tools into meaningful instruments for clinical practice.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jslhd.org/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25.34.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