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와 새로운 정당재편성 가능성

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나타난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흑인과 라티노 등 비백인유권자들의 공화당 지지가 크게 증가했다는 것이고 바로 이러한 비백인 유권자들의 공화당지지 증가가 트럼프의 당선에 결정적으로 기여한 바 있다. 만약 이번 대선에서 그간 진행되어왔던 백인 유권자들의 교육수준별∙성별 정당 지지 변화가 흑인과 라티노 등 비백인 유권자에까지 확산되었다면 이는 기존 선거연합 구도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옴으로써 미국의 새로운 정당재편성이 시작되는 단초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2024년 대선과 2020년 대선의 비교를 통하여저학...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현대정치연구, 18(1) pp. 5 - 35
Main Author 정진민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현대정치연구소 01.04.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나타난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흑인과 라티노 등 비백인유권자들의 공화당 지지가 크게 증가했다는 것이고 바로 이러한 비백인 유권자들의 공화당지지 증가가 트럼프의 당선에 결정적으로 기여한 바 있다. 만약 이번 대선에서 그간 진행되어왔던 백인 유권자들의 교육수준별∙성별 정당 지지 변화가 흑인과 라티노 등 비백인 유권자에까지 확산되었다면 이는 기존 선거연합 구도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옴으로써 미국의 새로운 정당재편성이 시작되는 단초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2024년 대선과 2020년 대선의 비교를 통하여저학력 비백인 유권자들의 공화당 지지가 크게 늘어나면서 성별에 따른 비백인 유권자들의정당 지지 분화에 더하여 흑인 유권자들과 라티노 유권자들의 학력에 따른 정당 지지 분화가백인 유권자들과 유사한 방향(저학력 유권자들의 민주당 지지가 고학력 유권자들보다 낮아지는 추세)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새로운 정당재편성의 가능성과 관련해서는학력에 따른 비백인 유권자들의 정당 지지 분화가 더욱 중요한데, 이는 교육수준은 계급 변수의 또 다른 구성 요소들인 직업이나 소득수준과 높은 상관관계를 갖고 있어 기존의 주로 인종균열에 기반한 정당체계가 계급균열에 기반한 정당체계로 대체됨으로써 새로운 정당재편성을가져올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새로운 정당재편성을 전망함에 있어, 무당파 유권자들의 증가, 후보 중심 정당으로의 진화, 매체 환경의 급격한 변화, 그리고 현재공화당의 강력한 지지 집단인 저학력 백인 유권자들의 비백인 소수 인종에 대한 강한 인종적분노, 선거유동성 증가 등 정당재편성을 저해하는 요인들도 동시에 작용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전국적인 수준에서의 정당재편성을 전망하는 것은 여전히 쉽지 않다고 할 수 있다 One of the important features in the 2024 US presidential election was a sharp increase in nonwhite voters’ support for the Republican party, which contributed greatly to Trump’s landslide victory. If the change in party support along educational and gender divides took place among Black and Latino voters as in white voters, we could expect another party realignment triggered by a significant shift in electoral coalition.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2024 and 2020 US presidential elections shows a notable change in party support among nonwhite voters, that is, a significant increase in support for the Republican party among less educated and male nonwhite voters. In particular, the change in party support of nonwhite voters along educational divide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a new party realignment based on class cleavage replacing racial cleavage, given the close correlation of educational factor with two other factors comprising class variable like occupation and income. However, whether a new party realignment will be realized or not is yet to be seen due to various factors obstructing party realignment at national level, including growing independent voters, changing media environment, and increasing electoral volatility. KCI Citation Count: 0
ISSN:1976-9466
2635-6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