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관여도와 이용정도에 따른 소셜미디어 뉴스 이용자 집단구분 및 구독․팔로우 네트워크 분석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뉴스 이용자를 뉴스 관여 행동과 이용 빈도를 기준으로 분류하고, 각 집단별로 주요 소셜미디어 플랫폼(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트위터, 유튜브)에서 어떠한 유형의 계정을 구독 및 팔로우하며 뉴스를 소비하는지 분석했다. 분석 결과, 소셜미디어 뉴스 이용자는 고관여-고이용 집단, 중관여-고이용 집단, 중관여-중상이용 집단, 중관여-중하이용 집단, 저관여-저이용 집단 등 총 다섯 개의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집단별로 뉴스 소비 패턴과 구독(팔로우) 네트워크에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고관여-고이용 집단은 소셜미디어에서 다...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문화콘텐츠연구, 0(33) pp. 49 - 84
Main Authors 신민호, 박지수, 김의환, 천현진, 황용석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01.04.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87-2256
DOI10.34227/tjocc.2025..33.4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뉴스 이용자를 뉴스 관여 행동과 이용 빈도를 기준으로 분류하고, 각 집단별로 주요 소셜미디어 플랫폼(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트위터, 유튜브)에서 어떠한 유형의 계정을 구독 및 팔로우하며 뉴스를 소비하는지 분석했다. 분석 결과, 소셜미디어 뉴스 이용자는 고관여-고이용 집단, 중관여-고이용 집단, 중관여-중상이용 집단, 중관여-중하이용 집단, 저관여-저이용 집단 등 총 다섯 개의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집단별로 뉴스 소비 패턴과 구독(팔로우) 네트워크에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고관여-고이용 집단은 소셜미디어에서 다양한 정보원들을 동시에 구독 및 팔로우하는 반면, 관여도와 이용빈도가 감소할수록 특정 유형의 계정을 중심으로 뉴스 및 정보를 소비하는 경향을 보였다. 계정 유형으로는 유튜브 크리에이터 계정이 가장 영향력 있는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났으며, 연예인․운동선수 및 예술가 계정 등도 높은 중심성을 보였다. 한편, 고관여-고이용 집단은 타 집단에 비해 정치인, 정부․지차체․공공기관 등의 계정 유형을 적극적으로 구독(팔로우)하는 특성을 보였다. 또한, 페이스북이 국내에서 정치인들을 팔로우하는 주요 플랫폼으로 기능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뉴스 이용자의 유형을 보다 정교하게 분류하고, 집단별 구독(팔로우) 네트워크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소셜미디어 환경에서 뉴스 소비의 양상과 정보원의 영향력을 탐색적으로 고찰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classifies social media news users based on their news engage-ment behavior and consumption frequency, analyzing the types of accounts they follow and subscribe to on major social media platforms (Facebook, Instagram, Twitter, and YouTube) to consume news. The analysis identified five distinct user groups. Differences in news consumption patterns and subscription (follow) networks were observed among these groups. Notably, the high-engagement/high-consumption group tended to follow and subscribe to a diverse range of information sources on social media, whereas users with lower engagement and consumption levels primarily consumed news and information from specific types of accounts. YouTube creators emerged as the most influential news source across all groups, followed by celebrities, athletes, and artists. Additionally, the high-engagement/high-consumption group showed a higher tendency to follow political figures and government/ public institution accounts compared to other groups. The study also highlights that Facebook serves as a key platform for following politicians in South Korea. By refining the classification of social media news users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subscription (follow) networks, this study provides an exploratory examination of news consumption patterns and the influence of different information sources in the social media environment. KCI Citation Count: 0
ISSN:2287-2256
DOI:10.34227/tjocc.2025..3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