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년기혼여성의 여가경험과 자기긍정성, 사회성의 구조적 관계: 자기긍정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중년기혼여성의 여가경험과 자기긍정성, 사회성 간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고자 한다. 아울러 여가경험과 사회성 간의 관계에서 자기긍정성의 매개효과가 있는지에 대하여 탐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구‧경북 그리고 부산‧경남에 거주하는 중년기혼여성 288명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기간은 2024년 7월~10월 사이에 이루어졌다. 첫째, 중년기혼여성의 여가경험이 자기긍정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어 여가경험을 높게 지각할수록 자기긍정성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중년기...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14(2) pp. 277 - 288
Main Author 문상정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01.04.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384-101X
2672-1163
DOI10.29056/jncist.2025.04.1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중년기혼여성의 여가경험과 자기긍정성, 사회성 간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고자 한다. 아울러 여가경험과 사회성 간의 관계에서 자기긍정성의 매개효과가 있는지에 대하여 탐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구‧경북 그리고 부산‧경남에 거주하는 중년기혼여성 288명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기간은 2024년 7월~10월 사이에 이루어졌다. 첫째, 중년기혼여성의 여가경험이 자기긍정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어 여가경험을 높게 지각할수록 자기긍정성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중년기혼여성의 자기긍정성이 사회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년기혼여성의 여가경험은 사회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중년기혼여성의 여가경험과 사회성 간의 관계에서 자기긍정성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여가경험이 사회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한다. 아울러 중년기혼여성의 여가경험과 사회성 간의 관계에서 자기긍정성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한 최초의 시도였다는 점에서 이론적으로 가치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leisure experience, self-positivity, and sociality of middle-aged married women. In addition, it is to explore whether there is a mediating effect of self-posi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experience and socialit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288 middle-aged married women living in Daegu, Gyeongbuk, Busan, and Gyeongnam were used for analysis. The survey period was between July and October 2024.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leisure experience of middle-aged married women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self-positivity, an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the leisure experience, the higher the self-positivity.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self-positivity of middle-aged married women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sociality. Third, it was found that the leisure experience of middle-aged married women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sociality. Final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isure experience and sociality of middle-aged married women, self-positivity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is study provides the basis for understanding whether leisure experience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sociality. In addition, it would be theoretically worthwhile in that it was the first attempt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posi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experiences and sociality of middle-aged married women.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nciss.or.kr/xml/xmldom.asp?xmlidx=NCISS1136_1403
ISSN:2384-101X
2672-1163
DOI:10.29056/jncist.2025.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