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안항만물류산업 현황분석을 위한 리액트 기반의 분석 시스템 구축 및 GPT 기반의 분석 기법
항만물류 산업은 국가 물류 네트워크 유지와 경제 발전의 중요한 축으로 자리 잡고 있다. 최근 급변하는 글로벌 물류 환경과 환경 규제 강화에 따라 항만물류 산업분야에도 디지털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은 항만물류 산업의 현황을 파악하고 지식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리액트 기반의 데이터 시각화 및 분석 시스템을 설계하고, GPT-4 기반 자연어 처리 기술을 활용하여 설문 데이터를 심층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 항만은 전라남도 서남권에 위치한 국가무역항인 목포항을 대상으로 수행되었고, 주요 연구결과로 설문조사...
Saved in:
Published in |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14(2) pp. 263 - 276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01.04.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384-101X 2672-1163 |
DOI | 10.29056/jncist.2025.04.10 |
Cover
Summary: | 항만물류 산업은 국가 물류 네트워크 유지와 경제 발전의 중요한 축으로 자리 잡고 있다. 최근 급변하는 글로벌 물류 환경과 환경 규제 강화에 따라 항만물류 산업분야에도 디지털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은 항만물류 산업의 현황을 파악하고 지식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리액트 기반의 데이터 시각화 및 분석 시스템을 설계하고, GPT-4 기반 자연어 처리 기술을 활용하여 설문 데이터를 심층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 항만은 전라남도 서남권에 위치한 국가무역항인 목포항을 대상으로 수행되었고, 주요 연구결과로 설문조사 데이터를 활용해 항만물류 산업의 주사업, 매출액, 종사자 수 등 항만물류 산업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더불어 사용자 친화적 분석 시스템을 구축하여 항만물류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사용자의 이해도를 높였다. 또한, GPT 기반 분석 기법을 활용해 응답자의 의견 간 상관관계와 숨겨진 패턴을 식별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chatGPT 기반의 분석과 통계적 분석을 수행한 결과 수집 데이터에 대한 다양한 지식정보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AI를 통한 데이터 분석 방법에 대한 가능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The port logistics industry plays a critical role in sustaining national logistics networks and driving economic growth. In response to the rapidly evolving global logistics environment and tightening environmental regulations, the demand for digital transformation in this sector is increasing. This study designs a React-based data visualization and analysis system and applies GPT-4-base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iques to perform in-depth analysis of survey data. Focusing on Mokpo Port, a national trade port in the southwestern region of Jeollanam-do, Korea, the study analyzes key industry metrics such as major business types, revenue, and workforce. A user-friendly interface enhances data accessibility through visualization, while GPT-based analysis identifies correlations and latent patterns in respondents’ opinions. The results demonstrate the potential of AI-driven methods to extract meaningful insights from port logistics data.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http://nciss.or.kr/xml/xmldom.asp?xmlidx=NCISS1136_1402 |
ISSN: | 2384-101X 2672-1163 |
DOI: | 10.29056/jncist.2025.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