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률앱 사용자의 혁신저항 및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법률 앱 사용자의 혁신 저항 요인을 탐색 및 규명하여, 효과적인 법률 앱 서비스 확산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법률 앱 사용 경험을 가진 일반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7.0, Amo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분석 결과, 사용장벽, 가치장벽, 전통장벽이 혁신 저항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사용자가 기술을 자신의 삶에 통합하는 과정에서 기존 가치나 습관과의 충돌이 주요한 저항 요인이 됨을 시사한다. 하지만, 위험장벽...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14(2) pp. 159 - 172
Main Authors 김의준, 반영환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01.04.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384-101X
2672-1163
DOI10.29056/jncist.2025.04.02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의 목적은 법률 앱 사용자의 혁신 저항 요인을 탐색 및 규명하여, 효과적인 법률 앱 서비스 확산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법률 앱 사용 경험을 가진 일반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7.0, Amo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분석 결과, 사용장벽, 가치장벽, 전통장벽이 혁신 저항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사용자가 기술을 자신의 삶에 통합하는 과정에서 기존 가치나 습관과의 충돌이 주요한 저항 요인이 됨을 시사한다. 하지만, 위험장벽과 심리적 거리감은 혁신 저항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혁신 저항 수준이 높을수록 법률 앱에 대한 사용 의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법률 서비스 분야의 디지털 전환 과정에서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 설계가 중요함을 강조하며, 이러한 방안들은 사용자의 수용성을 높이고 혁신 저항을 극복하여 법률 서비스의 디지털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데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identify the factors of innovation resistance of legal app users and to find an effective way to spread legal app services.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general public with experience in using legal app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7.0 and Amos 23.0 program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analysis, it was found that barriers to use, value barriers, and traditional barriers had a positive (+) effect on innovation resistance, suggesting that the conflict with existing values or habits is a major resistance factor in the process of users integrating technology into their lives. However, it was found that risk barriers and psychological distanc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nnovation resistanc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innovation resistance, the lower the intention to use the legal app.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user-centered service design in the digital transformation process of the legal service field, and these measures are required to increase user acceptance and overcome innovation resistance to facilitate digitalization of legal services.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nciss.or.kr/xml/xmldom.asp?xmlidx=NCISS1136_1394
ISSN:2384-101X
2672-1163
DOI:10.29056/jncist.2025.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