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애니메이션과 VR 콘텐츠의 공간구성과 사용자 경험 연구

이 연구는 미디어 고고학적 관점에서 3D 애니메이션과 VR 콘텐츠를 비교·분석하여 두 매체 간의 기술적·미학적·문화적 연속성과 변화를 탐구한다. 3D 애니메이션은 제한된 시점과 선형적 서사를 통해 관객이 수동적으로 서사를 따라가도록 설계되었으며, 초기 디지털 기술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반면, VR 콘텐츠는 실시간 렌더링과 몰입형 환경을 통해 사용자가 스토리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환경과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 연구는 3D 애니메이션의 기술적 토대가 VR 콘텐츠에서 어떻게 계승되고 확장되었는지 분석하며,...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14(2) pp. 145 - 158
Main Author 김기범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01.04.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384-101X
2672-1163
DOI10.29056/jncist.2025.04.0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이 연구는 미디어 고고학적 관점에서 3D 애니메이션과 VR 콘텐츠를 비교·분석하여 두 매체 간의 기술적·미학적·문화적 연속성과 변화를 탐구한다. 3D 애니메이션은 제한된 시점과 선형적 서사를 통해 관객이 수동적으로 서사를 따라가도록 설계되었으며, 초기 디지털 기술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반면, VR 콘텐츠는 실시간 렌더링과 몰입형 환경을 통해 사용자가 스토리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환경과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 연구는 3D 애니메이션의 기술적 토대가 VR 콘텐츠에서 어떻게 계승되고 확장되었는지 분석하며, 공간 구성과 사용자 경험에서 두 미디어의 본질적인 차이를 조명한다. 나아가 두 매체의 형성 배경과 시대적 맥락을 비교하여 디지털 미디어의 발전 과정에서 기술과 문화의 상호작용을 논의하였다. 정리하면 3D 애니메이션은 서사의 디지털화를, VR 콘텐츠는 감각적 몰입과 상호작용을 통해 새로운 사용자 경험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이는 디지털 미디어 진화의 방향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통찰을 제공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technological, aesthetic, and cultural continuities and transformations between 3D animation and VR content from a media archaeological perspective. 3D animation is evaluated as a representation of the early possibilities of digital technology, characterized by its limited perspectives and linear narratives that encourage audiences to passively follow the story. In contrast, VR content is designed to enable users to actively engage with the story and interact with the environment through real-time rendering and immersive environments. This research analyzes how the technical foundations of 3D animation have been inherited and expanded in VR content, highlighting fundamental differences in spatial configuration and user experience between the two media. Furthermore, it examines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s of their development, shedding light on the interaction between technology and culture in the evolution of digital media. In summary, 3D animation represents the digitization of traditional narratives, while VR content introduces a new paradigm of user experience through sensory immersion and interaction, providing critical insights into the trajectory of digital media evolution.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nciss.or.kr/xml/xmldom.asp?xmlidx=NCISS1136_1393
ISSN:2384-101X
2672-1163
DOI:10.29056/jncist.2025.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