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동이동보조기기 배터리 재생복원 효과 분석 연구: 보조기기 서비스 활용 가능성

본 연구는 장애인과 노인이 사용하는 전동이동보조기기의 배터리를 펄스 충전 기술을 통해 재생복원 하는 효과를 분석했다. 전동휠체어와 전동스쿠터에서 수집한 60쌍(120개)의 배터리를 대상으로 복원 전후의 전압, 내부저항, 방전시간, CCA를 측정한 결과, 모든 성능 지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개선이 확인되었다. 평균 전압은 3.4% 증가, 내부저항은 27.0% 감소, 방전시간은 31.7%(27.6분) 연장, CCA는 26.3% 향상되었다. 이러한 개선은 배터리 수명을 약 0.48년 연장하고, 배터리 쌍당 약 14.4만원의 비용 절감...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26(4) pp. 1127 - 1135
Main Author 이진현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01.04.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2009
2287-738X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장애인과 노인이 사용하는 전동이동보조기기의 배터리를 펄스 충전 기술을 통해 재생복원 하는 효과를 분석했다. 전동휠체어와 전동스쿠터에서 수집한 60쌍(120개)의 배터리를 대상으로 복원 전후의 전압, 내부저항, 방전시간, CCA를 측정한 결과, 모든 성능 지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개선이 확인되었다. 평균 전압은 3.4% 증가, 내부저항은 27.0% 감소, 방전시간은 31.7%(27.6분) 연장, CCA는 26.3% 향상되었다. 이러한 개선은 배터리 수명을 약 0.48년 연장하고, 배터리 쌍당 약 14.4만원의 비용 절감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 연구 결과는 배터리 재생복원 기술이 이동보조기기의 성능과 지속가능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고, 특히 의료급여 대상자들의 경제적 부담을 경감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iveness of battery restoration using pulse charging technology for powered mobility devices used by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 elderly. Sixty pairs of batteries (120 batteries in total) from electric wheelchairs and scooters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restoration. The voltage, internal resistance, discharge time, and cold cranking amperes (CCA) of the batteries were measured. The results show significant improvements across all parameters: average voltage increased by 3.4%, internal resistance decreased by 27.0%, discharge time extended by 31.7% (27.6 min), and CCA improved by 26.3%. These improvements translate to an estimated battery lifespan extension of 0.48 yr and potential cost savings of approximately 144,000 KRW per battery pair.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battery restoration technology can effectively improve mobility device performance and sustainability while reducing economic burden on users, particularly those receiving medical aid. KCI Citation Count: 0
ISSN:1598-2009
2287-738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