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미디어 X 내 불법 담배거래 규모 및 특성

연구배경: 청소년 대상 담배 판매가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청소년의 담배 제품 접근성은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최근 소셜미디어가 담배 대리구매 및 불법 광고의 주요 경로로 떠오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실증적 분석은 매우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X (구 트위터)에서 이루어지는 불법담배 거래 관련 콘텐츠의 규모와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2024년 8월부터 12월까지 X의 공개 API를 통해 ‘담배’ 키워드를 포함한 트윗 921,999건을 수집하였으며, 중복 제거 후 630,010건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대한금연학회지, 16(1) pp. 17 - 26
Main Authors 강희원, 강나은, 김길용, 장훈민, 정우진, 박수잔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금연학회 01.03.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093-0828
2586-0348
DOI10.25055/JKSRNT.2025.16.1.1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연구배경: 청소년 대상 담배 판매가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청소년의 담배 제품 접근성은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최근 소셜미디어가 담배 대리구매 및 불법 광고의 주요 경로로 떠오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실증적 분석은 매우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X (구 트위터)에서 이루어지는 불법담배 거래 관련 콘텐츠의 규모와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2024년 8월부터 12월까지 X의 공개 API를 통해 ‘담배’ 키워드를 포함한 트윗 921,999건을 수집하였으며, 중복 제거 후 630,010건의 트윗을 확보하였다. 이후, 대리구매 관련 주요 용어 분석과 수기 라벨링을 기반으로 불법 담배 거래 관련 트윗 4,031건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트윗 및 트윗 게시자 특성에 대해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고, KoBERT와 K-means를 활용한 비지도 군집 분석을 통해 추가 유형을 도출하였다. 결과: 불법 담배 거래 관련 트윗은 시간 경과에 따라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분석 대상 중 담배 판매 제안 또는 홍보(2,178건) 관련 트윗의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은 대리구매 요청(1,405건) 트윗이었다. 일부 트윗(96건)은 담배 관련 해시태그를 이용해 마약, 성범죄 등 다른 불법 행위를 홍보하고 있었다. 군집 분석을 통해 해외담배 판매나 술, 위조 신분증 등과 담배를 묶어 판매하는 유형이 추가로 확인되었다. 대부분의 게시 계정은 최근 1년 이내에 생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온라인 환경에서의 담배규제정책의 적용 및 집행 강화 필요성을 나타내며, 인공지능 기반의 실시간 담배 거래 탐지 시스템 도입 필요성을 시사한다. 아울러, 담뱃세 인상, 소매점 수 제한 등의 담배규제정책 강화는 담배제품에 대한 접근성을 낮춤으로써, 담배 불법 거래를 줄이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Background: Despite legal restrictions on tobacco sales to minor in Korea, youth access to tobacco products remains widespread. Social media has emerged as a key channel for proxy tobacco purchasing and advertising. However, few empirical studies have quantified these activities. We investigated content related to illegal tobacco sales on the social media platform X. Methods: We collected 921,999 tweets using X’s public API from August to December 2024. After de-duplication, 630,010 tweets remained. A multistep filtering process identified 4,031 tweets related to illegal tobacco sales. These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ntent classification, and unsupervised clustering with KoBERT and K-means. Results: Tweets related to illicit tobacco sales showed an increasing trend over time. The most common category was posts promoting or offering to sell tobacco products (2,178 tweets), followed by tweets expressing proxy purchase intentions (1,405 tweets). Notably, 96 tweets used tobacco-related hashtags to promote other illegal activities, such as drug sales or sex crimes. Clustering identified additional categories, including sales of foreign tobacco products and bundled offers featuring contraband items such as alcohol and fake IDs. Most accounts posting illegal tobacco sales-related tweets had been created within the previous year. Conclusion: These findings highlight regulatory blind spots in existing tobacco-control frameworks, particularly in online environments. They underscore the need for AI-based real-time detection systems to monitor and address illegal tobacco transactions on social media. Moreover, strengthening tobacco-control measures could also curb illicit tobacco sales online by restricting product access.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s://www.jksrnt.org/journal/view.html?uid=237&&vmd=Full
ISSN:2093-0828
2586-0348
DOI:10.25055/JKSRNT.2025.16.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