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곡의 철학실천 정신과 계몽교육의 변증법
이 글은 율곡의 철학실천의 기본 정신을 탐구하고, 특히 계몽교육의 변증법적 문제에 초점을 맞춰 그 철학적 의미를 심층적으로 고찰해 보려는 연구목표가 있다. 율곡철학의 실천적 사유는 수기(修己)와 치인(治人)의 범주를 상호 보완적으로 이해하고 조화롭게 소통시키고자 한 특징이 있다. 율곡은 수기와 치인의 통합적 실천을 강조하며, 그 철학적 근거로 실리(實理)를 제창한다. 그리고 이는 곧바로 율곡철학의 핵심 정신인 무실(務實)의 생활화로 이어진다. 율곡의 무실(務實)은 무실(無實)의 부정을 통해 완성된다. 이러한 율곡의 철학사상은 서구...
Saved in:
Published in | Yulgok sasang yŏn'gu pp. 5 - 41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사)율곡학회
01.03.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738-8236 2713-7236 |
DOI | 10.35436/yulgok.2025.59..5 |
Cover
Summary: | 이 글은 율곡의 철학실천의 기본 정신을 탐구하고, 특히 계몽교육의 변증법적 문제에 초점을 맞춰 그 철학적 의미를 심층적으로 고찰해 보려는 연구목표가 있다. 율곡철학의 실천적 사유는 수기(修己)와 치인(治人)의 범주를 상호 보완적으로 이해하고 조화롭게 소통시키고자 한 특징이 있다. 율곡은 수기와 치인의 통합적 실천을 강조하며, 그 철학적 근거로 실리(實理)를 제창한다. 그리고 이는 곧바로 율곡철학의 핵심 정신인 무실(務實)의 생활화로 이어진다. 율곡의 무실(務實)은 무실(無實)의 부정을 통해 완성된다. 이러한 율곡의 철학사상은 서구 비판이론가들의 부정의 변증법 사유와 일정 부분 유사한 점이 있다. 이 글은 율곡철학의 이러한 특징에 주목하여, 특히 계몽교육의 변증법적 사유에 초점을 맞춰 율곡철학의 의의를 새로운 패러다임 속에서 탐색하고자 한 것이다. 율곡은 역사적 계몽 이전의 원시 상태를 미몽과 무지의 시대로 보고, 성인의 정치적 교화와 철학적 실천을 통한 진정한 계몽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그 과정에서 율곡은 계몽을 위해 강조된 이성이 도구적 이성으로 변질되고, 또한 그 도구적 이성이 야만적 이성으로 변질됨으로써, 마침내 반이성적 집단지성, 종족주의와 같은 맹목적 동일성 체계가 강화되고 폭력화되는 현실의 한계를 지적하였다. 또한 그는 무속과 귀신 숭배와 같은 신화주의적 이성으로의 회귀 현상을 비판적으로 언급하면서, 합리주의적 이성의 문제점을 적시하였다. 요컨대 율곡은 계몽의 계몽, 즉 계몽의 부정성을 주장하며 계몽의 신화주의를 타파하고자 하는 새로운 계몽을 제안한 것이다. 이와 같은 율곡의 철학실천적 문제의식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하며, 그 적용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평가된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basic spirit of Yulgok's philosophical practice and, especially, to deeply examine its philosophical meaning by focusing on the dialectical matter of enlightenment education. The practical thinking of Yulgok's philosophy has the characteristic of understanding the categories of Self-Cultivation (修己) and Governing Others (治人) as complementary and communicating them harmoniously. Yulgok emphasized the integrated practice of Self-Cultivation and Governing Others, and advocated Practical Principles (實理) as its philosophical basis. And this leads directly to the realization of Trying to be Practical (務實), the core spirit of Yulgok's philosophy. Yulgok's Trying to be Practical (務實) is completed through the negation of Non-Practicality (無實). This philosophical thought of Yulgok has some similarities with the dialectical thinking of negation of Western critical theorists. This article focuses on these characteristics of Yulgok's philosophy and, in particular, on the dialectical thinking of enlightenment education, seeks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Yulgok's philosophy within a new paradigm. Yulgok viewed the primitive state before historical enlightenment as an era of delusion and ignorance,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rue enlightenment through the political education and philosophical practice of saints. In the process, Yulgok pointed out the limitations of reality in which the reason emphasized for enlightenment was transformed into instrumental reason, and furthermore, this instrumental reason was transformed into barbaric reason, and eventually, the blind identity system such as irrational collective intelligence and racialism was strengthened and turned violent. He also pointed out the problems of rationalistic reason while critically mentioning the phenomenon of returning to mythological reason, such as shamanism and ghost worship. In short, Yulgok proposed a new enlightenment that asserts the enlightenment of enlightenment, that is, the negativity of enlightenment, and seeks to break down the mythologization of enlightenment. Yulgok's philosophical and practical problem awareness is still valid today, and its applicability is considered to be very high.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738-8236 2713-7236 |
DOI: | 10.35436/yulgok.2025.5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