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변화 대응 실천 지향 교수학습 지원 방안 도출을 위한 학생 및 교사의 인식 및 실태 분석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초등학교의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기후 변화 대응 교육에 대한 인식, 경험, 실태 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2023년 7월 6일부터 20일까지 층화표집법을 통해 추출된 302개 초등학교의 3~6학년 교사 363명, 학생 4,985명이 응답하였다. 대부분의 교사들은 교육 수행 경험이 있으며, 기후 변화 대응 교육을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그들이 교육 활동을 시작된 계기 중 가장 높은 응답은 개인적 관심과 문제의식이었고, 가장 큰 어려움으로 자료 및 콘텐츠의 부족, 그리고 교사 네트워크 활성화 지원...
Saved in:
Published in | 교육과정평가연구, 27(2) pp. 205 - 230 |
---|---|
Main Authors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01.05.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1544 2671-728X |
DOI | 10.29221/jce.2024.27.2.205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는 초등학교의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기후 변화 대응 교육에 대한 인식, 경험, 실태 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2023년 7월 6일부터 20일까지 층화표집법을 통해 추출된 302개 초등학교의 3~6학년 교사 363명, 학생 4,985명이 응답하였다. 대부분의 교사들은 교육 수행 경험이 있으며, 기후 변화 대응 교육을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그들이 교육 활동을 시작된 계기 중 가장 높은 응답은 개인적 관심과 문제의식이었고, 가장 큰 어려움으로 자료 및 콘텐츠의 부족, 그리고 교사 네트워크 활성화 지원 부족을 언급하였다. 학생들은 80%이상이 교과 수업시간에 배운 적이 있으며, 더 이상 배우고 싶지 않다는 학생의 비율이 30%이상으로 나타났으며, 그들이 배우고 싶지 않은 가장 큰 이유는 기후 변화에 관심이 없거나 기후 변화를 정확히 모른다고 응답하였다. IPA 분석 결과, 대부분의 기후 변화 대응 교육은 지식에 대한 학습에 치중하고 있으며 ‘적응을 위한 기후 행동’이나 ‘감수성’에 대한 교육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중심으로 향후 기후 변화 대응 교육 지원의 방향성을 설정함으로써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정책지원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ir awareness, experience, and actual situation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education through a survey of teachers and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From July 6 to 20, 2023, one teacher from each grade 3 to 6 of 302 elementary schools sampled through stratified sampling and finally 363 teachers and 4,985 students responded. While most teachers had experience teaching and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climate change education, personal interest and awareness of the issue were the most common reasons for their initiatives, and the biggest challenges were a lack of available materials and content, and a lack of support to facilitate teacher networks. More than 80% of students said they had learned about climate change in class, and more than 30% said they did not want to learn more, with the top reasons for not wanting to learn being that they were not interested in climate change or did not know what climate change was. The IPA analysis found that most climate change education is focused on learning about knowledge, with a lack of training in “climate change adaption”or “climate change sensibility”. These findings are important because they provide direction for future suppor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consistent and systematic policy support by setting the direction of future climate change education support center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action-oriented teaching and learning for climate change response.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229-1544 2671-728X |
DOI: | 10.29221/jce.2024.27.2.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