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듀테크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본 연구의 목적은 에듀테크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한 G중학교의 2, 3학년 학생 103명을 실험집단 51명, 통제집단 52명으로 구성하고, 실험집단에는 에듀테크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통제집단에는 전통적 인쇄물 중심의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이에 두 집단 간의 효과 차이를 살펴보고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대한 동형의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사전검사 결과를 공변인으로 통제하여 사후검사 결과에...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교육과정평가연구, 27(2) pp. 149 - 173
Main Authors 이여진, 남창우, 정지은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교육과정평가원 01.05.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1544
2671-728X
DOI10.29221/jce.2024.27.2.14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의 목적은 에듀테크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한 G중학교의 2, 3학년 학생 103명을 실험집단 51명, 통제집단 52명으로 구성하고, 실험집단에는 에듀테크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통제집단에는 전통적 인쇄물 중심의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이에 두 집단 간의 효과 차이를 살펴보고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대한 동형의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사전검사 결과를 공변인으로 통제하여 사후검사 결과에 대한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이때,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된 변인의 경우, 하위요인의 사후검사 결과에 대하여 다변량공분산분석(M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경우, 에듀테크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따른 집단 간 평균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진로성숙도의 경우, 에듀테크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따른 집단 간 평균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로성숙도 하위요인인 ‘결정성’, ‘목적성’, ‘준비성’, ‘독립성’, ‘확신성’ 중, ‘결정성’과 ‘목적성’에 대해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학교 진로교육에 에듀테크를 접목한 혁신적 교수법을 제안하고,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효과적인 에듀테크 활용 교수전략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areer education program using Edu-tech on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For this purpose, 103 second and third grade students from G middle school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were collected and then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of 51 students and a control group of 52 students.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career education program using Edu-tech, and the control group received career education program using traditional print-based learning materials. Accordingly, in order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effects between the two groups, similar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and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was conducted on the post-test results by controlling the pre-test results as covariates. At this time, for variables wh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found, multivariate analysis of covariance (MANCOVA) was performed on the post-test results of the sub-factors. The main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erage between groups according to career education program using educational technology. Second, in terms of career maturit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erage between groups according to career education program using educational technology. In addition, among the career maturity sub-factors of ‘decisiveness’, ‘purposefulness’, ‘preparation’, ‘independence’, and ‘certaint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only for ‘decisiveness’ and ‘purposefulnes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poses an innovative teaching method that incorporates Edu-tech into middle school career education and suggests a teaching strategy using Edu-tech that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career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KCI Citation Count: 0
ISSN:1229-1544
2671-728X
DOI:10.29221/jce.2024.27.2.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