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정보시스템(GIS)과 현장조사를 이용한 산림복원 타당성 분석에 관한 연구_강원도 철원군을 중심으로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철원군 인근 사방댐 설치예정지의 유역특성 및 산사태 발생지역의 주요 인자들을 분석하여 산림복원 타당성 분석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적재적소에 사방댐 설치를 통해 토사 유출과 같은 자연재해로부터 위험도가 높은 지역을 완화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산림복원연구의 타당성평가는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과 「사방연구법」에 근거하여 수행하였다. 산림복원연구 타당성평가 절차에 따라 사전조사(자료수집 및 분석), 현지조사, 조사결과 검토 및 타당성 평가, 연구 결과순으로 진행하였다. 조사인...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ehan hwan'gyeong gonghag hoeji pp. 195 - 206
Main Authors 권순길, 장윤성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환경공학회 01.03.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5025
2383-7810
DOI10.4491/KSEE.2025.47.3.195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철원군 인근 사방댐 설치예정지의 유역특성 및 산사태 발생지역의 주요 인자들을 분석하여 산림복원 타당성 분석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적재적소에 사방댐 설치를 통해 토사 유출과 같은 자연재해로부터 위험도가 높은 지역을 완화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산림복원연구의 타당성평가는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과 「사방연구법」에 근거하여 수행하였다. 산림복원연구 타당성평가 절차에 따라 사전조사(자료수집 및 분석), 현지조사, 조사결과 검토 및 타당성 평가, 연구 결과순으로 진행하였다. 조사인자로는 산림훼손 원인 분석, 훼손면적, 법적제한사항, 산사태위험등급도, 인문사회적 현황을 순차적으로 조사하였다. 강원도 철원군 서면에 위치한 연구대상지(2ha)에 대해 훼손현황, 주변환경, 기반환경, 생태계현황 등 전반적인 항목을 조사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산림복원연구의 시행으로 자연환경개선, 토양보전, 생물 서식공간 제공, 풍부한 경관제공, 교육 및 홍보효과 등 다양한 효과가 발휘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산림복원연구의 추진은 타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강원도 철원지역의 산림복원연구 수행 흐름도에 따라 주요 인자들을 조사, 분석하여 사방댐 설치 예정지의 타당성평가를 시행하고 위험지역에 사방댐을 설치함으로써 토사재해를 방지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수행하였다. 산림복원연구의 시행 이후에도 향후 모니터링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타당성을 입증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In this study, by analyzing the basin characteristics of the planned installation site of the erosion control dam near Cheorwon-gun, Gangwon-do, and applying the forest restoration feasibility analysis method, we tried to help against natural disasters such as soil runoff through the installation of the erosion control dams in the right place. In this study, the feasibility evaluation of forest restoration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CREATION AND MANAGEMENT OF FOREST RESOURCES ACT」 and 「EROSION CONTROL WORK ACT」. The evaluation procedure for forest restoration research was carried out in the following order: preliminary investigation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on-site investigation, review and feasibility evaluation of the investigation results, and presentation of research results. The investigation factors were analyzed sequentially, including the causes of forest damage, the area of damage, legal restrictions, landslide risk grades, and socio-cultural status. The research target area located in Seomyeon, Cheorwon-gun, Gangwon Province, was 2.0 ha, and comprehensively analyzed by investigating all items such as damage status, surrounding environment, basic environment, and ecosystem status.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implementation of forest restoration research is expected to have various effects such as improvement of natural environment, soil conservation, provision of habitat for living things, provision of rich landscape, and education and publicity effects, so it was judged reasonable to promote forest restoration research. This study was conducted to help prevent landslide disasters by analyzing the factors that cause them by conducting a feasibility study on the proposed installation site of a check dam by comparing the main factors according to the flow chart of the forest restoration research in the Cheorwon-gun area of ​​Gangwon Province. It is believed that successful forest restoration will be achieved by continuously conducting monitoring after the forest restoration research is conducted.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s://doi.org/10.4491/KSEE.2025.47.3.195
ISSN:1225-5025
2383-7810
DOI:10.4491/KSEE.2025.47.3.1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