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군 통합 대드론체계 구축과 관제시스템 통합 운용 고찰
현재 벌어지고 있는 전쟁과 분쟁에서 위협은 다영역(Multi-Domains)으로 확대되었고 드론은 필수 무기체계가 되었다. 드론 기술은 어렵지 않고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되어 대량으로 전장에 운용되고 있다. 다양한 기능을 가진 드론의 성능은 첨단화되고 있고 장거리 임무도 가능하게 되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는 드론을 기존 항공기, 미사일, 무인비행체 등과 혼합하여 제파식으로 투입하고 있다. 이 같은 운용으로 드론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한편 전후방 동시 전장이 되었다. 특히, 후방 종심지역에 있지만 전쟁지속에 결정적인 국가중요시설...
Saved in:
Published in | 문화기술의 융합, 11(2) pp. 123 - 130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국제문화기술진흥원
01.03.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384-0358 2384-0366 |
Cover
Loading…
Summary: | 현재 벌어지고 있는 전쟁과 분쟁에서 위협은 다영역(Multi-Domains)으로 확대되었고 드론은 필수 무기체계가 되었다. 드론 기술은 어렵지 않고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되어 대량으로 전장에 운용되고 있다. 다양한 기능을 가진 드론의 성능은 첨단화되고 있고 장거리 임무도 가능하게 되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는 드론을 기존 항공기, 미사일, 무인비행체 등과 혼합하여 제파식으로 투입하고 있다. 이 같은 운용으로 드론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한편 전후방 동시 전장이 되었다. 특히, 후방 종심지역에 있지만 전쟁지속에 결정적인 국가중요시설이 주요 표적이 되었다. 드론 운용과 전쟁 양상의 변화로 대드론체계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었다. 대드론체계는 군의 자산을 방호해야 하는 것은 물론 핵심 국가중요시설, 도시 등도 동시에 방호해야 하는 상황이 된 것이다. 본 연구는 대드론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위협과 전쟁 양상의 변화에서 선결 기반 요건과 대응개념의 정립 필요성을 제시하고, 민․관․군 차원에서 효율적인 협력방안과 도전 과제를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후방지역에서 대드론체계의 구축과 운용에는 전장 환경과 군과 협조된 대응체계 구축이 핵심적인 요건이 될 것이다. In current wars and conflicts, the threats has expanded to include multiple domains, and drones have become an essential weapon system. Drone technology is not difficult and can be produced at low cost and deployed on the battlefield in large numbers. Their capabilities are becoming increasingly sophisticated and capable of long-range missions. In the Russian-Ukrainian war, drones are being employed in a piecemeal fashion, mixed with conventional aircraft, missiles, and UAVs. This maximizes the effectiveness of drones and creates a simultaneous front and rear battlefield. In particular, National key facilities that are located at the rear but are crucial to the continuation of the war have become major targets. The change in drone operations and warfare patterns has further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Counter-drone systems. In addition to protecting military assets, Counter-drone systems must also protect National key facilities and cities.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prerequisite elements and response concepts in the context of changing threats and warfare patterns to build a Counter-drone system, and to explore efficient cooperation and challenges at the civil, goverment, and military levels. In particular,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Counter-drone systems in the rear areas will require the establishment of a coordinated response system with the battlefield environment and the military.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2384-0358 2384-036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