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달장애아의 시지각 능력 향상 및 소근육 발달을 위한 미술치료 게임 시스템

보건복지부의 최신 통계에 따르면 65세 미만의 발달장애인은 21.2%에 달한다고 한다. 발달장애로 진단받게 되면 여러 가지 치료가 필요한데, 그중 미술치료는 시지각 발달 및 소근육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하지만 미술치료는 다양한 미술 매체를 가지고 진행하기에 환경의 제한과 한계가 있다. 이에 스마트폰을 활용하면 이러한 제한점을 극복할 수 있으며, 게임 콘텐츠는 발달장애아의 흥미와 몰입을 유발하여 반복되는 치료 보조 도구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게임은 한국 영유아 발달선별검사(K-DST)의 소근육 운동과 인지 문항을 재구...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29(3) pp. 327 - 336
Main Authors 한혜빈, 문선민, 이지희, 오지수, 박수이, 최종인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정보통신학회 01.03.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34-4772
2288-4165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보건복지부의 최신 통계에 따르면 65세 미만의 발달장애인은 21.2%에 달한다고 한다. 발달장애로 진단받게 되면 여러 가지 치료가 필요한데, 그중 미술치료는 시지각 발달 및 소근육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하지만 미술치료는 다양한 미술 매체를 가지고 진행하기에 환경의 제한과 한계가 있다. 이에 스마트폰을 활용하면 이러한 제한점을 극복할 수 있으며, 게임 콘텐츠는 발달장애아의 흥미와 몰입을 유발하여 반복되는 치료 보조 도구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게임은 한국 영유아 발달선별검사(K-DST)의 소근육 운동과 인지 문항을 재구성하여 제작되었으며 훈련용 게임과 테스트 게임의 두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훈련용 게임은 여섯 종류, 테스트 게임은 다섯 종류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문가의 의견에 따라 측정 항목을 구성하였다. According to the latest statistics from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1.2% of people under the age of 65 have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en diagnose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various treatments are required, and among them, art therapy can help with visual perception development and fine motor skills development. However, art therapy has environmental limitations and restrictions because it uses various art media. Therefore, using smartphones can overcome these limitations, and game content can be used as a repetitive treatment aid tool by stimulating the interest and immers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s game was created by reconstructing the fine motor skills and cognition items of the Korean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K-DST) and consists of two areas: training games and test games. There are six types of training games and five types of test games, and the measurement items were organized according to expert opinions.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jkiice.org
ISSN:2234-4772
2288-4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