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트 남자하키 경기에서 나타나는 턴오버 특징 분석
본 연구는 2023년 FIH에서 주관한 파리올림픽 출전권 획득을 위한 대륙별 예선전에서 수집한 턴오버 정보를바탕으로 필드하키 경기에서 나타나는 턴오버의 특징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경기 영상을 기반으로 턴오버 원인, 턴오버 위치, 턴오버 이후 결과, 턴오버 이후 최종위치, 4가지 요인을 예선전과토너먼트 경기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각각의 요인들을 교차분석과 카이제곱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발생위치에서는 예선전에서...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27(1) pp. 15 - 26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01.03.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는 2023년 FIH에서 주관한 파리올림픽 출전권 획득을 위한 대륙별 예선전에서 수집한 턴오버 정보를바탕으로 필드하키 경기에서 나타나는 턴오버의 특징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경기 영상을 기반으로 턴오버 원인, 턴오버 위치, 턴오버 이후 결과, 턴오버 이후 최종위치, 4가지 요인을 예선전과토너먼트 경기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각각의 요인들을 교차분석과 카이제곱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발생위치에서는 예선전에서 중앙의 발생비율이높았으나, 토너먼트에서는 우측에서 발생비율이 증가 되었다. 둘째, 턴오버 원인으로 예선전에서 태클이 주원인으로나타났는데, 토너먼트에서는 인터셉트 비율이 증가 되었다. 셋째, 턴오버 이후 결과는 예선전에 비하여 토너먼트에서턴오버, 슈팅허용과 실점의 비율이 줄어들고, 골라인아웃, 파울, PC와 PS의 비율이 증가 되었다. 마지막으로 턴오버이후 위치에서는 예선전에서 비하여 토너먼트 경기에서 턴오버 이후 공격지역, 공격서클, 수비서클 지역의 비율이증가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필드하키 경기에서 턴오버 상황을 분석하여 국제대회 준비 및 전략 수립을 위하여활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urnovers that appear in field hockey Competition based on the turnovers information collected in the continental qualifying matches for qualifying for the 2023 Paris Olympics organized by the FIH.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cause of turnovers, the location of turnovers, the results after turnovers, the final location after turnovers, and four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qualifying matches and tournament games based on the match video.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5.0 statistical program, and cross-analysis and chi-square verification were performed on each factor.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at the location of occurrence, the central incidence rate in the preliminary round was high, but at the tournament, the incidence rate increased on the right. Second, tackle was the main cause of turnovers in qualifying matches, but the intercept rate increased in tournaments. Third, as a result of after turnovers, the ratio of turnovers, shooting allowances and runs in tournaments decreased compared to the preliminary round, and the ratio of goalline out, fouls, and PC and PS increased. Finally, in the post-turnover position, the ratio of attack areas, attack circles, and defensive circles after turnovers in tournament games increased compared to in qualifying matche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used to prepare for international competitions and establish strategies by analyzing turnovers in field hockey match.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229-4225 2671-913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