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화단층촬영을 이용한 대퇴골 전자간 골절 전방부위의 형태학적 분석

목적: 전자간 골절에서는 분쇄골절이 자주 발생하며, 특히 대전자 및 소전자를 포함한 전자간 능선 주변에서 분쇄골절이 흔히발견된다. 후방 부위의 분쇄 골절이 있는 경우에는 골절면의 전-내측 부위가 안정적인 정복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이다. 따라서본 연구에서는 안정적인 정복을 위한 대퇴골 전방부의 해부학적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전자간부 골절의 전방부를 computed tomography (CT)를 통해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3년 4월부터 2023년 3월까지 단일 기관에서 60세 이상 대퇴부 전자간 골절로 수술적 치료...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pp. 38 - 45
Main Authors 장재석, 주성근, 김지완, 김철호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정형외과학회 01.03.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전자간 골절에서는 분쇄골절이 자주 발생하며, 특히 대전자 및 소전자를 포함한 전자간 능선 주변에서 분쇄골절이 흔히발견된다. 후방 부위의 분쇄 골절이 있는 경우에는 골절면의 전-내측 부위가 안정적인 정복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이다. 따라서본 연구에서는 안정적인 정복을 위한 대퇴골 전방부의 해부학적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전자간부 골절의 전방부를 computed tomography (CT)를 통해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3년 4월부터 2023년 3월까지 단일 기관에서 60세 이상 대퇴부 전자간 골절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51례의 환자의 영상 자료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CT를 시행하지 않은 환자는 연구에서 제외되었으며(113례), 고에너지 손상과 역경사골절이 발생한 경우(2례)를 제외하였다. 남성 환자가 15명, 평균연령은 81.9세, 여성 환자는 36명으로 평균연령은 83.7세였다. 2 종류 이상의 동반질환을 갖고 있는 환자는 40명(78.4%)이었다. 골밀도는 5례(9.8%)를 제외한 모든 예에서 시행되었다. 결과: 49례(96.1%)에서 전방의 골절선은 전자간선을 따라 진행되었으며, 2개의 골융기를 통과하였다. 2례(3.9%)에서는 전자간선의 하방으로 골절선이 주행하였고, 큰 소전자 골절편을 동반하고 있었다. 골절선이 하방 내측의 골융기를 통과하면서 골전선 형태가 직선보다는 S자형을 나타내었다. 하방 내측의 골융기는 피질골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평균 두께가 6.4±1.4 mm로, 주위의 평균 피질골 두께(1.5±0.6 mm)보다 유의하게 두꺼웠으며, 골간의 피질골 두께(7.3±1.3 mm)보다는 얇았다. 전자간선 상방 외측의 골절선은 해면골을 포함하고, 피질골의 두께는 1.1±0.6 mm로 얇았다. 결론: 전방의 골절선은 대퇴골 전자간선을 따라 진행하며, 하방 내측의 골융기를 통과하면서 휘어지는 양상을 보인다. 하방 내측의 골융기는 피질골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변의 평균 피질골 두께보다 유의하게 두꺼움을 확인할 수 있었다 Purpose: Intertrochanteric fractures often involve comminuted fractures, particularly around the intertrochanteric ridge, including the greater and lesser trochanters. In cases with comminuted fractures in the posterior region, maintaining a stable reduction of the anteriormedial region of the fracture surface is essential.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morphologic features of the anterior femur for stable reduction by analyzing the anterior region of intertrochanteric fractures using three-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Materials and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analyzed the imaging data of 51 patients aged 60 years and older who underwent a surgical treatment for intertrochanteric fractures at a single institution from April 2013 to March 2023. The sample contained 15 male patients with an average age of 81.9 years and 36 female patients with an average age of 83.7 years. Forty patients (78.4%) had two or more comorbidities. The bone mineral density was assessed in all cases except for five (9.8%). Results: In 49 cases (96.1%), the anterior fracture line followed the intertrochanteric line and passed through two bony prominences. In two cases (3.9%), the fracture line ran below the intertrochanteric line and involved a large fragment of the lesser trochanter. As the fracture line passed through the inferior medial bony prominence, it exhibited an S-shaped pattern rather than a straight line. The inferior medial bony prominence consisted of cortical bone, with an average thickness of 6.4±1.4 mm, which was significantly thicker than the surrounding average cortical bone thickness (1.5±0.6 mm) but thinner than the cortical bone thickness of the femoral shaft (7.3±1.3 mm). The fracture line in the superior lateral region of the intertrochanteric line included cancellous bone with a cortical bone thickness of 1.1±0.6 mm, which was thin. Conclusion: The anterior fracture line followed the femoral intertrochanteric line and curves as it passed through the inferior medial bony prominence. The inferior medial bony prominence, consisting of cortical bone, was significantly thicker than the surrounding average cortical bone.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s://jkoa.org/DOIx.php?id=10.4055/jkoa.2025.60.1.38
ISSN:1226-2102
2005-8918
DOI:10.4055/jkoa.2025.60.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