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키치(Kitsch) 음료 패키지 디자인의 특성이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 20대 소비자를 대상으로
중국 제품 시장의 발전에 따라 사회현상 중 하나인 키치(Kitsch) 역시 제품 패키지 디자인에 적용되고 있다. 키치는 다양한 함축적인 의미를 지녔으면서도, 광범위한 홍보 효과까지 가지고 있다. 현상 자체가 지닌 독특한 특성을 담은 음료 패키지 디자인은 대중, 그중에서도 특히 젊은 세대의 주목을 받고 있다. 본고에서는 20대 소비자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중국 키치 음료 패키지 디자인의 특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본고는 먼저 선행 논문을 연구 조사한 후, 키치의 특성과 디자인 요소를 요약하고 정리하였다. 그리고...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5(3) pp. 182 - 192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01.03.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5.25.03.182 |
Cover
Summary: | 중국 제품 시장의 발전에 따라 사회현상 중 하나인 키치(Kitsch) 역시 제품 패키지 디자인에 적용되고 있다. 키치는 다양한 함축적인 의미를 지녔으면서도, 광범위한 홍보 효과까지 가지고 있다. 현상 자체가 지닌 독특한 특성을 담은 음료 패키지 디자인은 대중, 그중에서도 특히 젊은 세대의 주목을 받고 있다. 본고에서는 20대 소비자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중국 키치 음료 패키지 디자인의 특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본고는 먼저 선행 논문을 연구 조사한 후, 키치의 특성과 디자인 요소를 요약하고 정리하였다. 그리고 중국 키치 특성을 보인 음료 제품을 사례로 분석한다. 이론과 사례에 대한 사전 연구를 바탕으로 연구 모형과 가설을 수립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20대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총 320개의 유효 설문 결과가 수집되었다. 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사용했으며, 분석 결과 키치의 부적합성, 유희성, 색채성, 식별성 등이 소비자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키치의 자기만족성과 통속성은 음료 패키지 디자인에 사용될 때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국 음료 제품 시장의 발전을 위해서는 키치를 음료 패키지 디자인에 활용할 수 있으며, 키치가 지닌 고유한 특성 영향으로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호기심과 색다른 경험에 끌리는 심리가 더 강화될 수 있으며 소비자의 구매의도를 자극하여 제품 판매를 늘리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With the evolution of the Chinese product market, the phenomenon of kitsch, which garners considerable social attention, has also manifested in product packaging design. Kitsch not only encompasses multiple meanings but also enjoys extensive propagation. Due to its peculiar nature, beverage packaging designs with kitsch characteristics attract significant attention from mass consumers, particularly the younger generation. Therefore, this study selects consumers in their twenties as the research subjects to investigate and verify the impact of kitsch beverage packaging design on purchase intention. Initially, this study summarizes and refines the characteristics and design elements of kitsch through the research and investigation of previous papers. Subsequently, the author analyzes the examples of Chinese beverage products using kitsch characteristics. Based on preliminary theoretical and case study research, a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were formulated. To validate these hypotheses, a questionnaire survey was administered to consumers in their twenties. A total of 320 vali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the SPSS statistical system. The results confirm that the inappropriateness, playfulness, color and recognition of kitsch all have positive effects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The self-satisfaction and popularity of kitsch applied to the packaging design of beverages will not affect the purchase intention of consumers. Consequently, to foster the development of Chinese beverage products, kitsch characteristics can be effectively incorporated into beverage packaging design. The deployment of kitsch elements can enhance consumer curiosity and willingness to try, thereby stimulating purchase intentions and increasing product sale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5.25.03.18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