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초기 부부의 부부갈등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조망수용의 매개효과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본 연구는 결혼 기간이 5년 이하이고, 자녀가 없는 19세에서 39세의 부부의 부부갈등과 결혼만족도 간 관계에서 조망수용의 매개효과 및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결혼 초기 부부 280쌍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갈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는 남편과 아내의 자기효과만 유의하였다. 둘째, 부부갈등이 조망수용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에서는 자기효과는 유의하며, 상대방효과는 남편만 유의하였다. 셋째, 조망수용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는...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5(3) pp. 523 - 536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01.03.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5.25.03.523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결혼 기간이 5년 이하이고, 자녀가 없는 19세에서 39세의 부부의 부부갈등과 결혼만족도 간 관계에서 조망수용의 매개효과 및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결혼 초기 부부 280쌍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갈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는 남편과 아내의 자기효과만 유의하였다. 둘째, 부부갈등이 조망수용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에서는 자기효과는 유의하며, 상대방효과는 남편만 유의하였다. 셋째, 조망수용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는 자기효과만 유의하였다. 넷째, 부부갈등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조망수용의 매개효과는 자기효과만 유의하였다. 즉, 배우자에게 지각하는 조망수용이나 부부갈등의 정도보다 자신이 지각하는 부부갈등과 조망수용이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결혼만족도가 각 개인에게서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을 의미한다. 끝으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의의와 제언을 논했다.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self-effect, and counterpart effect of prospect accept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marital satisfaction of couples aged 19 to 39 years without children with less than 5 years of marriage period.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280 couples in the early stages of marriag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effect and counterpart effect of marital conflict on marriage satisfaction were only significant for husband and wife. Second, in the self-effect and counterpart effect of marital conflict on prospect acceptance, the self-effect was significant, and the counterpart effect was significant only for husband. Third, only the self-effect and counterpart effect of prospect acceptance on marriage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mediating effect of prospect acceptance was only significant in the self-effect.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he marital conflict and prospect acceptance perceived by oneself were more affected than the degree of prospect acceptance perceived by the spouse or marital conflict. This means that marriage satisfaction is more affected by each individual.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sugges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5.25.03.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