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수업만족에 미치는 영향: 학습몰입의 매개변수를 중심으로

목적: 본 연구는 교수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학습몰입과 수업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해보고자 진행하였다. 방법: 본 연구의 조사 대상자는 수도권 대학교에서 뷰티 관련 수업을 듣고 있는 재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2024년 9월 첫째 주부터 셋째 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257부 가운데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250부만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교수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학습몰입을 통해 재방문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기 위해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23(1) pp. 81 - 90
Main Author 박선주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피부과학연구원 01.03.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466-2046
2466-205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본 연구는 교수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학습몰입과 수업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해보고자 진행하였다. 방법: 본 연구의 조사 대상자는 수도권 대학교에서 뷰티 관련 수업을 듣고 있는 재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2024년 9월 첫째 주부터 셋째 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257부 가운데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250부만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교수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학습몰입을 통해 재방문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기 위해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PSS 25.0) 프로그램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교수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 중에서 전문형과 신뢰형은 학습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전문형과 협력형은 수업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몰입이 높을수록 수업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전문형·신뢰형· 협력형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과 수업만족 간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은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교수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 중에서 전문형은 학습몰입과 수업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교과목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개발하고 최신 지식을 갖고 있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스타일 중에서 신뢰형은 학습몰입을 향상시키고, 협력형은 수업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따라서 교수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과 전문성은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educator’s communication style on learning flow and class satisfaction.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surveyed students taking beauty-related classes at universities in a metropolitan area for three weeks from the first to the third week of September 2024, and only 250 copies of the 257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excluding insincere responses. This study conducted an analysis of the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PSS 25.0) program to find out how the educator’s communication style affects the class satisfaction through learning flow. Results: Among the educator’s communication styles, the professional type and the trust type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flow, and the professional type and the cooperative type had a positive effect on class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higher the learning flow, the more positive it had on class satisfaction, and it was analyzed that learning flow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trust, and cooperative communication styles and class satisfaction. Conclusion: It is essential to develop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and maintain up-to-date knowledge regarding course subject matter, as the professional style positively affects learning flow and class satisfaction. The trust-oriented style enhances the learning flow, while the cooperative style significantly contributes to class satisfaction. Therefore, an educator’s communication style and expertise are critical to improving educational quality.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dx.doi.org/10.20402/ajbc.2024.0097
ISSN:2466-2046
2466-20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