냄새의 충돌 -아브젝트 개념으로 본 이불(李昢)의 <화엄(장엄한 광채)>을 중심으로

본 연구의 배경은 작가 이불의 초기 작업을 아브젝트-여성-신체-페미니즘에 중점을 두고 분석한 기존의 연구 성과가 아브젝트 개념의 한 측면에 치중하고, 아브젝트와 밀접한 아브젝시옹과의 연관성으로 논의함이 부족하다고 파악한데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아브젝트가 유발하는 오염의 후각적 징표인 냄새에 주목했고, 이불의 초기 작업 중에서 국내외 미술계에 이슈를 던진 <화엄(장엄한 광채)>(1997)을 대상으로, 작가의 의도와 관람자의 느낌에 유의하며 그 의미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먼저 방법론의 검토를 위해, 줄리아 크리스테...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기초조형학연구, 26(1) pp. 225 - 240
Main Authors 이시은, 엄소연(한국외국어대학교 인문한국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기초조형학회 01.02.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8635
2713-5993
DOI10.47294/KSBDA.26.1.17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의 배경은 작가 이불의 초기 작업을 아브젝트-여성-신체-페미니즘에 중점을 두고 분석한 기존의 연구 성과가 아브젝트 개념의 한 측면에 치중하고, 아브젝트와 밀접한 아브젝시옹과의 연관성으로 논의함이 부족하다고 파악한데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아브젝트가 유발하는 오염의 후각적 징표인 냄새에 주목했고, 이불의 초기 작업 중에서 국내외 미술계에 이슈를 던진 <화엄(장엄한 광채)>(1997)을 대상으로, 작가의 의도와 관람자의 느낌에 유의하며 그 의미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먼저 방법론의 검토를 위해, 줄리아 크리스테바가 제시하는 아브젝트 개념과 냄새에 대해 고찰하고, 아브젝트와 아브젝시옹의 밀접한 상호관계를 들여다 본 후, 아브젝트-아브젝시옹-냄새의 관계를 논의했다. 또한, ‘악취-여성-성스러움’의 관점에서 주체가 여성일 경우에 냄새, 특히 악취가 사회적·문화적·정치적으로 어떤 양상과 의미를 가져왔으며, 여성에 대한 ‘냄새-고정관념’이 어떻게 작동해왔는지 탐색했다. 이상의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여성, 신체, 퍼포먼스’로 규정되는 1980년대 후반 이불의 초기 작업과 1991년부터 ‘화엄(장엄한 광채)’으로 실험한 ‘생선설치 작업’을 살펴본 후, 이불이 미술관에 냄새나는 <화엄>(1997)을 전시한 의미를, 아브젝트 개념을 중심으로 보다 자세히 분석해봤다. 그 결과, 이불은 근대 이후 서구 중심의 기득적 미술계와 무취의 시각적 성소(聖所)로 치부돼온 미술관을 냄새로 교란하여 그들의 아브젝시옹을 유발했고, 시각적 화려함과 썩은 생선의 죽어가는 악취 ‘사이’의 모호한 아브젝트를 통해, 불확실하고 부조리한 세계에 눈에 보이지 않는 냄새의 존재감으로 충돌하여 더 나은 미래를 위해 저항함은 물론, 모든 생명은 이중율이 작동하는 ‘화엄’의 아브젝트 속에 있다는 메시지를 전하고자 했다고 요약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논문은 이불의 작품에 대한 논의를 아브젝트-아브젝시옹-냄새의 관계성으로 확장한데 의의를 둔다.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is that existing research results that analyzed the early works of the artist Lee Bul with a focus on the abject-woman-body-feminism focused on one aspect of the concept of the abject and lacked discussion of its close relationship with abjection. Therefore, this paper focused on the smell, which is an olfactory sign of contamination caused by the abject, and analyzed the meaning of <Hwaeom (Majestic Splendor)>(1997), one of Lee Bul's early works that raised issues in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art world, while paying attention to the artist's intention and the viewer's feelings.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s of abject and smell presented by J. Kristeva, looked into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abject and abjection, and discu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abject-abjection-smell. In add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odor-femininity-sacredness,’ we explored what aspects and meanings smell, especially odor, has had socially, culturally, and politically when the subject is a woman, and how ‘smell-stereotypes’ about women have functioned. Based on above, Lee Bul’s early works from the late 1980s, and the ‘fish installation works’ experimented with 'Hwaeom' since 1991 were examined. And then the significance of exhibiting the stinky in an art museum was analyzed in more detail from the concept of the abject. As a result, it can be summarized that Lee Bul disturbed the art museum, which has been regarded as a visual sanctuary and a vested interest in the Western-centered art world since the modern era, with its smell, causing their abjection, and through the ambiguous abject ‘in-between’ the visual splendor and the dying stench of rotten fish, attempted to resist for a better future by clashing with the uncertain and absurd world with the invisible presence of smell, and also to convey the message that all life is within the abject of ‘Hwaeom’ where the duality operates.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88&idx=2768
ISSN:1598-8635
2713-5993
DOI:10.47294/KSBDA.26.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