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기원에 관한 최신 연구성과와 전망 – 북방기원설을 중심으로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기원에 대한 최신 연구 성과를 정리하고 이를 통해 북방기 원설을 검토하는데 있다. 한국인의 기원문제와 관련하여 북방기원설을 검토하기 위해 최근까지 발표된 생물인류학 자료인 두개골의 계측값과 비계측적 특징, 분자생물학 연구, 치아인류학의 연구결과 그리고 고기후 변화 연구결과를 검토해 본 결과 한국인은 동북아시아 집단의 체질적 특징과 인도 남부 및 인도네시아 계통의 특징이 혼합된 구조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생물인류학적 연구결과만을 고려해본다면 한국인의 몸속에는 신석기시대 이후 꾸준히 북방...
Saved in:
Published in | 유라시아문화, 12(0) pp. 41 - 65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유라시아연구원
01.02.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799-4147 2799-4155 |
DOI | 10.47527/JNAH.2025.02.12.41 |
Cover
Summary: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기원에 대한 최신 연구 성과를 정리하고 이를 통해 북방기 원설을 검토하는데 있다. 한국인의 기원문제와 관련하여 북방기원설을 검토하기 위해 최근까지 발표된 생물인류학 자료인 두개골의 계측값과 비계측적 특징, 분자생물학 연구, 치아인류학의 연구결과 그리고 고기후 변화 연구결과를 검토해 본 결과 한국인은 동북아시아 집단의 체질적 특징과 인도 남부 및 인도네시아 계통의 특징이 혼합된 구조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생물인류학적 연구결과만을 고려해본다면 한국인의 몸속에는 신석기시대 이후 꾸준히 북방계(70∼60%)와 남방계(40∼30%)의 유전자가 혼합되어 한반도에서 거주한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최근 게놈분석의 연구결과는 남방계 유전 자의 영향이 더 커질 수도 있음을 추정 가능하게 만드는데 농경의 확산에 따른 폭발적인 인구증가와 대규모 인구이동이 주요 원인일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인 기원문제에 있어 북방기원설(시베리아 기원설)과 관련하여 부리야트인을 비 롯한 바이칼 호수 주변 자료가 한국인과 가까운 것으로 나왔으나 앞으로도 유전학, 생물인류학, 고고학, 민속학, 언어학 등의 융복합연구가 병행되어야 확실한 해답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mmarize the latest research results on the origins of Koreans and review the northern origin theory through them. In order to examine the northern origin theory in relation to the question of the origin of Koreans, the results of reviewing the biological anthropology data published until recently, including measured values and non-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skull, molecular biology research, dental anthropology research results, and paleoclimate change research results, Koreans can be seen as showing a mixture of the co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Northeast Asian groups and the characteristics of southern Indian and Indonesian groups.
Therefore, considering only the biological anthropological research results so far, it is estimated that Koreans have been living on the Korean Peninsula with a steady mixture of northern (70-60%) and southern (40-30%) genes in their bodies since the Neolithic Age. However, recent genome analysis research results make it possible to estimate that the influence of southern genes may be greater, and the explosive population increase and large-scale population migration due to the spread of agriculture are believed to be the main causes.
Regarding the issue of Korean origins, in relation to the Northern origin theory (Siberian origin theory), data from the area around Lake Baikal, including the Buryat people, were found to be close to Koreans. However, convergence research in genetics, biological anthropology, archeology, folklore, and linguistics must be conducted in parallel in the future to be certain. It is believed that it can provide an answer.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2799-4147 2799-4155 |
DOI: | 10.47527/JNAH.2025.02.12.4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