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고대국가 ‘이토국’(伊都國)에 대한 새로운 해석

이 논문은 언어학적인 관점에서 한국어와 일본어의 비교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한국 의 고대국가 ‘이서국’(伊西國)과 일본의 고대국가 ‘이토국’(伊都國)이 어떻게 연결되는가 하는 점을 밝혀 놓았다. 또한 이서국의 멸망이 가져온 한국의 ‘가락국’의 건국과 김수로 왕의 이름, 구지봉 등에 대해, 지금까지 상식적으로 알고 있던 사실과 다른 해석을 제시했다. 그리고 한일간의 잘못된 해석으로 늘 빚어지는 역사 왜곡 문제를, 한/일어 비교를 통해 진실은 어떻게 되는지 증명해 놓았다. 한/일 고대사에서 늘 주목을 받는 나라는 백제다. 그러나 일본...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유라시아문화, 12(0) pp. 169 - 204
Main Author 박명미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유라시아연구원 01.02.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799-4147
2799-4155
DOI10.47527/JNAH.2025.02.12.16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이 논문은 언어학적인 관점에서 한국어와 일본어의 비교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한국 의 고대국가 ‘이서국’(伊西國)과 일본의 고대국가 ‘이토국’(伊都國)이 어떻게 연결되는가 하는 점을 밝혀 놓았다. 또한 이서국의 멸망이 가져온 한국의 ‘가락국’의 건국과 김수로 왕의 이름, 구지봉 등에 대해, 지금까지 상식적으로 알고 있던 사실과 다른 해석을 제시했다. 그리고 한일간의 잘못된 해석으로 늘 빚어지는 역사 왜곡 문제를, 한/일어 비교를 통해 진실은 어떻게 되는지 증명해 놓았다. 한/일 고대사에서 늘 주목을 받는 나라는 백제다. 그러나 일본의 천황가의 시작은 가야국임을, 그들의 선조들의 이름에 나타나는 가야 관련 어휘로 증명해 놓았다. 또한 일본서기(日本書紀)에 나오는 ‘진무 천황의 동정설’(東征説)에 근거해, 7년간에 걸친 대장정 끝에 도착한 ‘가시하라노미야’ (橿原宮)라는 곳에서 기원전 660년에 즉위했다고 하는 그 연도가 사실이 아님을, ‘대가 야’의 국명, 관직명 등을 통해 증명해 놓았다. 지금까지 우리는 오래전에 살다간 사람들 이 남긴 유물이나 기록 등을 통해 옛 역사를 증명하려고만 했다. 그러나 그것은 많은 제약이 뒤따른다. 앞으로는 좀 더 폭을 넓혀 ‘언어’에 남아 있는 증거들로도 지나간 역사를 증명해나가고 싶다. This paper has shown how the ancient Korean Kingdom Iseo and the ancient Japanese Kingdom Ito were connected from a linguistic point of view, that is, through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Japanese. It has also presented a different view of the founding of the Kingdom Kaya brought about by the fall of the Kingdom Iseo, of the name of King Kim Suro, of Kujibong, which is different from the usually held view as ‘fact’. Further, it shows what the truth is through comparison of Korean and Japanese languages concerning the Japanese distortion of history caused by misinterpretation of historical facts. In connection with the ancient history of Korea and Japan, the kingdom that has always received special attention is Baekje. However, this paper has shown that the Japapnese Imperial Family originated in Kaya by pointing out Kaya-related vocabulary in the names of several old Emperors. With regard to the first Emperor Jimmu, it is usually believed that his enthronement took place in 660BC after 7 years of eastward advancement and settlement in Kashiwara Palace based on the description in Nihonshoki, the ancient Japanese chronicle. However, the writer has shown that this date is wrong based on the name of the Kingdom of Daekaya and its offiicials’ titles. In the study of history, we have usually attmpted to prove theories of history with the use of records and relics/ remains from the past, from ancient times. However, this approach has its limitations. The writer hopes that the scope is widened and that evidence remaining in language is also used in the study of history. KCI Citation Count: 0
ISSN:2799-4147
2799-4155
DOI:10.47527/JNAH.2025.02.12.1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