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 이후 아파트시장의 군집행태 : 수도권을 중심으로
· 연구 주제: 수도권아파트 시장의 군집(Herding)과 역군집(Revers Herding)연구· 연구 배경: 부동산 시장에 나타나는 ‘FOMO’,‘영끌,’패닉바잉’등의 신조어 속에 수도권 지역의 아파트 시장에 대해 법정동 수준의 가격자료를 활용하여 열망적 투자대상이 되는 아파트시장에 대한 군집행태를 살펴보고 시장비대칭적 상황과 외부적 요인(글로벌 금융위기와 Covid-19)에서 다양한 연구모형을 통해 군집과 역군집 행태를 포괄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 기본 CCK 모형에 GARCH 조건부 분산을 독립변수...
Saved in:
Published in | 인문사회과학연구, 33(1) pp. 33 - 59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인문사회과학연구소
01.02.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288-8861 2671-5376 |
DOI | 10.22924/jhss.33.1.202502.002 |
Cover
Loading…
Summary: | · 연구 주제: 수도권아파트 시장의 군집(Herding)과 역군집(Revers Herding)연구· 연구 배경: 부동산 시장에 나타나는 ‘FOMO’,‘영끌,’패닉바잉’등의 신조어 속에 수도권 지역의 아파트 시장에 대해 법정동 수준의 가격자료를 활용하여 열망적 투자대상이 되는 아파트시장에 대한 군집행태를 살펴보고 시장비대칭적 상황과 외부적 요인(글로벌 금융위기와 Covid-19)에서 다양한 연구모형을 통해 군집과 역군집 행태를 포괄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 기본 CCK 모형에 GARCH 조건부 분산을 독립변수로 추가하여 변동성의 시간적 구조를 반영하였고 세분화된가격지수(법정동단위)를 통해 지역적 특성에 따른 시간적 공간적 연구를 진행하며 외생적변수 상황에서 군집과 역군집의 발현 양상을 실증분석한다.
· 연구방법 : Stata18과 R 프로그램을 통해서 구현한다.
· 연구결과: 부동산 시장하락 또는 GFC등의 시기에 역군집행태가 나타나는 것은 서울중심의 아파트 시장에 대한 가격차별성으로 추정되며 이는 하방경직성이 강한 투자대상으로 강한 신뢰를 갖는 공간의 아파트로 인정된다. Covid-19전후 시장에서의 군집행태는 저금리에서 고금리로 전환되는 시기의 시장상황이 수도권아파트 시장의 급등락에 따른 강한 군집행태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한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종래의 군집행태와 함께 역군집행태를 발견한 의미가 크며 부동산 가격의 안정화에 대한 정부정책 차원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 Research topics: Herding and Reverse Herding in the Apartment Market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Research background:Amid the neologisms such as 'FOMO', 'attraction', and 'panic buying' in the real estate market, this study examines the herding behavior of the apartment market in the metropolitan area, which is an aspirational investment target, using statutory building-level price data, and comprehensively examines the herding and reverse herding behavior through various research models under market asymmetry and external factors (global financial crisis and Covid-19).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We add GARCH conditional variance as an independent variable to the basic CCK model to reflect the temporal structure of volatility, conduct temporal and spatial studies according to regional characteristics through disaggregated price indices (fiat units), and empirically analyze the manifestation of clustering and counter-clustering under exogenous variables.
· Research method: Implemented through Stata18 and R programs.
· Research results:The reverse clustering behavior in the period of real estate market decline or GFC is estimated to be due to price discrimination in the apartment market in central Seoul, which is recognized as a space with strong downward rigidity as an investment target. We find that herding behavior in the pre- and post-Covid-19 markets is stronger during the period of transition from low to high interest rates, which is reflected in the sharp ups and downs of the metropolitan apartment market.
·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The finding of inverse herding behavior along with conventional herding behavior is significant and has implications for government policy on stabilizing real estate prices.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81734 |
ISSN: | 2288-8861 2671-5376 |
DOI: | 10.22924/jhss.33.1.202502.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