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교양 글쓰기 교과목,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의 필요성 및 제언 : D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연구 주제: 대학 교양 글쓰기 교과목 수준별 운영의 필요성 및 효과, 이를 강화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사례를 들어 제안한 연구이다. · 연구 배경: 최근 다양한 이유로 발생하고 있는 학생들 간 글쓰기 ‘수준’의 차이를 고려한 수업 및 교육과정 운영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활발한 논의나 실제 운영 사례와 관련된 학술적 소통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대학 글쓰기 수업 운영과 관련된 개별적 논의들을 전개하면서 예시적 차원에서 수준별 수업 및 교육과정 운영의 필요성을 단편적으로 피력...
Saved in:
Published in | 인문사회과학연구, 33(1) pp. 657 - 675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인문사회과학연구소
01.02.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288-8861 2671-5376 |
DOI | 10.22924/jhss.33.1.202502.028 |
Cover
Loading…
Summary: | · 연구 주제: 대학 교양 글쓰기 교과목 수준별 운영의 필요성 및 효과, 이를 강화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사례를 들어 제안한 연구이다.
· 연구 배경: 최근 다양한 이유로 발생하고 있는 학생들 간 글쓰기 ‘수준’의 차이를 고려한 수업 및 교육과정 운영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활발한 논의나 실제 운영 사례와 관련된 학술적 소통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대학 글쓰기 수업 운영과 관련된 개별적 논의들을 전개하면서 예시적 차원에서 수준별 수업 및 교육과정 운영의 필요성을 단편적으로 피력한 기존 연구와 차별된다.
· 연구방법: 학생들의 설문결과를 반영하기는 했으나, 계측된 수치들을 정량적 근거틀로 활용하지는 않았다. 교수자로서 실제 수준별 수업을 운영한 경험에 근거하여 논의를 전개하였다.
· 연구결과: 글쓰기 ‘수준별 수업 및 교육과정’ 운영의 필요성 및 효과, 강화 방안에 대해 모색하였다. 또한, ‘D대학’의 운영 사례를 하나의 수업 모형으로 도출하였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단편적이고 예시적인 차원에서 논의되었던 대학 교양 글쓰기 수준별 수업 및 교육과정 운영 전반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이와 관련된 본격적인 논의를 가능하게 했다는 점, 참고할 수 있는 수업 모형을 제시했다는 점 등이다. · Research topics: This is a proposed study using examples on the necessity and effectiveness of operating college liberal arts writing courses at each level and ways to strengthen them.
· Research background: Recently, the need to operate classes and curriculum that takes into account differences in writing ‘level’ among students, which is occurring for various reasons, is emerging. Nevertheless, this is because there is a lack of active discussion on this or academic communication related to actual operational cases.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existing studies that expressed fragmentarily the need for class and curriculum operation by level at an illustrative dimension through developing individual discussion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university writing classes.
· Research method: Although students' survey results were reflected, the measured numbers were not used as a quantitative basis. The discussion was based on my experience as an instructor in operating classes at each level.
· Research results: The necessity, effectiveness, and ways to strengthen the writing ‘level-differentiated classes and curriculum’ were explored. In addition, the operation case of ‘D University’ was derived as a teaching model.
·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By considering the overall university liberal arts writing class and curriculum operation at each level, which had been discussed at a fragmentary and illustrative level, full-fledged discussions related to this were possible, and a teaching model that can be used as a reference was presented.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81769 |
ISSN: | 2288-8861 2671-5376 |
DOI: | 10.22924/jhss.33.1.202502.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