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축산분야 온실가스 감축 고도화 전략

축산 분야는 식량 공급과 경제적 이익에 필수적이지만, 장내 발효 및 가축분뇨 처리 과정에서 다량의 온실가스를 발생시킨다. 본 연구는 205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기반으로 국내 축산분야 탄소중립 방안 시나리오를 평가하고, 현재 및 예측된 가축 사육 두수를 바탕으로 온실가스 배출량과 저감 가능성을 계산하고자 한다. 주요 저감 방안으로는 저메탄 사료 사용, 사료 내 조단백질 함량 감소를 통한 분뇨 처리 시 질소 저감, 돈분의 에너지 회수 비율 증가 등이 있다. 본 연구는 1996 IPCC 가이드라인의 Tier 1 배출 계수를 활용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ehan hwan'gyeong gonghag hoeji pp. 110 - 118
Main Authors 서동윤, 조상열, 카담 라훌, 장희원, 박준규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환경공학회 01.02.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5025
2383-7810
DOI10.4491/KSEE.2025.47.2.110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축산 분야는 식량 공급과 경제적 이익에 필수적이지만, 장내 발효 및 가축분뇨 처리 과정에서 다량의 온실가스를 발생시킨다. 본 연구는 205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기반으로 국내 축산분야 탄소중립 방안 시나리오를 평가하고, 현재 및 예측된 가축 사육 두수를 바탕으로 온실가스 배출량과 저감 가능성을 계산하고자 한다. 주요 저감 방안으로는 저메탄 사료 사용, 사료 내 조단백질 함량 감소를 통한 분뇨 처리 시 질소 저감, 돈분의 에너지 회수 비율 증가 등이 있다. 본 연구는 1996 IPCC 가이드라인의 Tier 1 배출 계수를 활용하여 온실가스 저감량과 탄소중립 실현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시나리오 분석 결과, 저메탄사료 및 저단백사료 보급을 통해 약 1,200천톤-CO2eq의 감축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가축분뇨 처리에서는 추가로 약 1,300천톤-CO2eq의 감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육류 소비량 증가에 따라 가축 사육 두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농경지 감소 등 주요 현안에 따라 기존 자원화(퇴액비화 등) 방식의 처리 방법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축산 분야의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서는 가축 분뇨 처리 방법의 개선이 필수적이며, 돈분의 에너지화 및 정화 방류 외에도 우분의 바이오가스화 등 추가적인 방안이 요구된다. The livestock sector is essential for food supply and economic benefits, but it emits greenhouse gases during enteric fermentation and livestock manure treatment. This study evaluates carbon neutrality scenarios based on the 2050 NDC and calculates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reduction potential based on current and projected livestock numbers. Key mitigation strategies include using low-methane feed, reducing nitrogen emissions in manure treatment by decreasing crude protein in feed, and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energy recovery from pig manure. This study utilizes Tier 1 emission factors from the 1996 IPCC guidelines to assess greenhouse gas reduction and the feasibility of achieving carbon neutrality. Scenario analysis predicts that improving digestion and reducing nitrogen could achieve approximately 1,200 thousand ton-CO2eq in reductions, while an additional reduction of about 600 thousand ton-CO2eq is needed in the manure treatment sector. Improvements in manure treatment methods are essential for achieving carbon neutrality goals. With the increase in domestic meat consumption, livestock numbers are expected to continue to rise. Given key issues such as the reduction of arable land, existing resource recovery methods (such as composting) have limitations. Therefore, improving manure treatment methods is essential for achieving carbon neutrality in the livestock sector, and additional measures, including energy recovery from pig manure and biogas production from cattle manure, are required.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s://doi.org/10.4491/KSEE.2025.47.2.110
ISSN:1225-5025
2383-7810
DOI:10.4491/KSEE.2025.47.2.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