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급 디지털 역량 수준 진술문 개발 연구

본 연구는 최근 디지털 역량 평가도구 개발 및 시행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평가 결과에 대한 실질적인 피드백이 부족하여 전반적인 평가 환류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데 문제 의식을 갖고, 학생들의 디지털 역량에 대한 맞춤형 피드백이 가능한 수준 진술문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디지털 역량의 개념, 영역, 요소 등의 이론적 프레임워크와 디지털 역량 진단 문항 및 조사 결과 등의 실증적 결과물을 근거로 하여 기본 소양, 실천 역량별 3수준(상), 2수준(중), 1수준(하)에 해당하는 진술문을 개발하였다. 본고에서 개발한 수준 진술...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교육과정평가연구, 28(1) pp. 277 - 311
Main Authors 오은하, 김자영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교육과정평가원 01.02.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1544
2671-728X
DOI10.29221/jce.2025.28.1.27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최근 디지털 역량 평가도구 개발 및 시행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평가 결과에 대한 실질적인 피드백이 부족하여 전반적인 평가 환류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데 문제 의식을 갖고, 학생들의 디지털 역량에 대한 맞춤형 피드백이 가능한 수준 진술문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디지털 역량의 개념, 영역, 요소 등의 이론적 프레임워크와 디지털 역량 진단 문항 및 조사 결과 등의 실증적 결과물을 근거로 하여 기본 소양, 실천 역량별 3수준(상), 2수준(중), 1수준(하)에 해당하는 진술문을 개발하였다. 본고에서 개발한 수준 진술문은 기존 선행 연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부사어 중심의 수준 구분을 지양하고 수행 동사 중심으로 개발하여 수준별 수행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디지털 역량의 영역별, 수준별로 차등적인 수행 예시문을 추가 개발하여 디지털 역량 평가뿐 아니라 교수・학습 장면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고에서 개발한 디지털 역량 수준 진술문은 교육청 차원의 공교육 책무성 강화, 학교 및 교사 차원의 수업 강화뿐 아니라 학생들에게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학생 자신의 디지털 역량 수준을 자체적으로 점검하고 문제점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aware of the problem that although digital competency assessment tools have been actively developed and implemented recently, there is a lack of practical feedback on the assessment results, and thus the overall assessment feedback is not being done well, and thus a performance level description that allows customized feedback on students' digital competencies was developed. To this end, based on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concept, domain, and elements of digital competency and empirical results such as digital competency diagnostic items and survey results, descriptions corresponding to 3 levels (upper), 2 levels (middle), and 1 level (lower) for basic knowledge and practical competency were developed. The performance level description developed in this study has the characteristic of avoiding the level division centered on adverbs, which is commonly seen in previous studies, and developing it centered on performative verbs to enable the verification of differences in performance by level. In addition, differential performance examples were additionally developed by domain and level of digital competency so that it can be used not only in digital competency assessment but also in teaching and learning situations. KCI Citation Count: 0
ISSN:1229-1544
2671-728X
DOI:10.29221/jce.2025.28.1.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