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A 2022 창의적 사고력 영역 차별기능문항 탐색: Rasch tree 적용

본 연구는 창의융합 인재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창의적 사고력이 강조되고, 동시에 차별기능 문항이 검사의 공정성을 보장하는 중요한 요소로 부각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PISA 2022에서 시행된 혁신적 영역인 창의적 사고력 영역의 차별기능문항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PISA 2022 창의적 사고력 영역(31문항)에 응시한 만 15세 1,713명의 응답 자료와 학생 및 학부모 설문을 통해 수집된 자료 중 67개의 설명변인에 Rasch tree 방법(Strobl, Schneider, Kopf, & Zeileis,...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교육과정평가연구, 28(1) pp. 247 - 276
Main Authors 정정교, 정혜원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교육과정평가원 01.02.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1544
2671-728X
DOI10.29221/jce.2025.28.1.24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창의융합 인재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창의적 사고력이 강조되고, 동시에 차별기능 문항이 검사의 공정성을 보장하는 중요한 요소로 부각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PISA 2022에서 시행된 혁신적 영역인 창의적 사고력 영역의 차별기능문항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PISA 2022 창의적 사고력 영역(31문항)에 응시한 만 15세 1,713명의 응답 자료와 학생 및 학부모 설문을 통해 수집된 자료 중 67개의 설명변인에 Rasch tree 방법(Strobl, Schneider, Kopf, & Zeileis, 2021)을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창의적 사고력에 차별기능 문항이 존재하는지, 그리고 차별기능을 유발하는 변인이 무엇인지 파악하였으며, 추가적으로 해당 문항에 대한 안정성 평가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소속감’, ‘창의성과 지적 개방성’, ‘성별’, ‘수학 학습에 대한 노력과 끈기’의 4개 설명변인의 응답수준에 따라 최대 3개의 하위집단으로 자료가 분할되었다. 둘째, 하위집단별 차별기능 문항을 탐색하기 위해 500번의 재표집을 통한 안정성 평가를 실시한 결과, 4개의 설명변인 모두 차별기능을 유발하는 정도가 일관적이지 않아, PISA 2022 창의적 사고력 영역에는 차별기능 문항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Rasch tree 방법을 적용하여 집단을 구분하는 설명 변인이 무엇인지 분석하고, 도출된 집단에 따라 최신 국제 학업성취도 자료를 활용하여 데이터 기반으로 창의적 사고력 문항에서 차별기능이 존재하는지를 탐색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in the Creative Thinking of PISA 2022 innovative domain. To do this, Rasch tree was applied to Creative Thinking data of PISA 2022. Rasch tree(Strobl et al., 2021) was applied to explore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for 31 items of Creative Thinking, and explanatory variables that contribute to differential functioning were identifie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ata were divided into up to three subgroups according to ‘sense of belonging’, ‘creativity and openness to intellect’, ‘student gender’, and ‘effort and persistence in mathematics’. Second, the results of the stability assessment through 500 re-samplings showed that the four variables associated with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were not stable. indicating that no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was present in PISA 2022 Creative Thinking.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the Rasch tree method was applied to identify the explanatory variables distinguishing subgroups, and the latest international academic achievement data was used to explore the existence of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in creative thinking items. KCI Citation Count: 0
ISSN:1229-1544
2671-728X
DOI:10.29221/jce.2025.28.1.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