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정보원의 신뢰성 효과: 코로나19 백신의 안전성 지각과 접종의향에 미치는 정치적 요인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온라인 실험 서베이를 통해 뉴스 정보원의 신뢰성이 코로나19 팬데믹 백신 접종 태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개인의 정치적 성향 요인이 이를 어떻게 조절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1에서는 백신 관련 8개 뉴스 정보원의 신뢰성을 비교하였다. 정보원을 전문가/비전문가, 해외/국내, 기관/개인으로 구분하여 신뢰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국내보다 해외 정보원에 대한 신뢰성이 높게 나타났다. 8개 정보원을 독립변인으로, 그중 해외전문기관을 기준으로 두고 조절매개분석을 한 결과, 국내 정치인에 대한 정보원 신뢰성이 낮았고,...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언론정보연구, 62(1) pp. 227 - 256
Main Authors 이완수, 안서원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언론정보연구소 01.02.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738-6195
2508-8629
DOI10.22174/jcr.2025.62.1.22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온라인 실험 서베이를 통해 뉴스 정보원의 신뢰성이 코로나19 팬데믹 백신 접종 태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개인의 정치적 성향 요인이 이를 어떻게 조절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1에서는 백신 관련 8개 뉴스 정보원의 신뢰성을 비교하였다. 정보원을 전문가/비전문가, 해외/국내, 기관/개인으로 구분하여 신뢰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국내보다 해외 정보원에 대한 신뢰성이 높게 나타났다. 8개 정보원을 독립변인으로, 그중 해외전문기관을 기준으로 두고 조절매개분석을 한 결과, 국내 정치인에 대한 정보원 신뢰성이 낮았고, 정보원이 국내 정치인일 때 응답자의 정치 성향이 보수이거나 중도일 경우 정보원 신뢰성을 매개로 하여 백신 접종의 안전성 지각과 백신 접종의향이 각각 낮아졌다. 이처럼 일부 조건에서만 정치 성향의 조절 효과가 나타나 연구 2에서는 정치적 맥락으로 구성한 메시지를 대상으로 정치 성향의 조절 효과를 추가로 살펴보았다. 국내의 대표적인 보수신문인 <조선일보>와 진보신문인 <한겨레> 두 뉴스 매체를 정보원으로 설정해 비교했다. 그 결과 응답자의 정치 성향이 진보적일수록 <한겨레>를 더 신뢰하였고, 보수적일수록 <조선일보>를 더 신뢰하였다. 사람들은 뉴스 매체 정보원의 신뢰성을 매개로 하여 백신 접종에 영향을 받았으며, 메시지 정치성을 평균 이상으로 높게 지각할 때 정보원에 대한 신뢰성이 높을수록 메시지 내용을 수용해 백신 접종의 안전성 지각과 백신 접종의향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개인의 정치 성향이 보수적일 때는 <조선일보>를 신뢰하여 백신 수용 정도가 낮아졌고, 진보적일 때는 <한겨레>를 신뢰하여 백신 수용 정도가 낮아졌다. 본 연구는 다양한 뉴스 정보원의 신뢰성이 백신 접종 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정치적 요인 효과를 살펴보고, 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how the credibility of news sources influences COVID-19 pandemic vaccination and how personal political orientation moderates this through online experimental surveys. Study 1 compared the credibility of eight vaccine-related news sources. Looking at the difference in credibility by dividing news sources into experts/non-experts, foreign/domestic, and institutions/individuals, the credibility of foreign sources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at of domestic sources. As a result of a moderated mediation analysis using eight news sources as independent variables, among which foreign professional organization was used as the base, the credibility of the news source for domestic politicians was low. When the news source was a domestic politician, if the respondent's political orientation was conservative or moderate, the perceived safety of vaccination and vaccination intention decreased, respectively, mediated by the source credibility. Because the moderating effect of political orientation appeared only under some conditions, Study 2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political orientation in a more political context. Two news media, Korea's representative conservative daily the Chosun Ilbo and progressive daily the Hankyoreh, were compared as news sources, and the content of the message was also political. The credibility of the media as a news source varied depending on the political orientations of the media and the respondents. In other words, the more progressive the respondent's political orientation was, the more they trusted the Hankyoreh, and the more conservative the respondent, the more they trusted the Chosun Ilbo. News media sources influenced vaccination acceptance through credibility. When the message politics was perceived as higher than average, the higher the credibility of the news media source, the lower the perceived safety of vaccination and the lower the vaccination intention. The level of vaccine acceptance decreased as people trusted different news sources depending on their political orientation. In other words, conservatives trusted the Chosun Ilbo and progressives trusted the Hankyoreh, lowering their level of vaccine acceptance. Lastly, the study discussed the impact of the credibility of various news sources on vaccination-related communication, the effect of political factors that appear in the process, and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KCI Citation Count: 0
ISSN:1738-6195
2508-8629
DOI:10.22174/jcr.2025.62.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