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라이브러리 음악의 수익모델 다각화에 관한 고찰: 쇼트 필름에서의 BGM 활용사례를 중심으로
이 논문은 국내 라이브러리 음악 산업의 현황을 분석하고, 동영상 플랫폼 발전에 따른 시장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음악 제작 방식과 수익 모델 다각화 방안을 제시한다. 국내 시장은 해외 업체의 진출과 경쟁이 치열해져 지속 가능한 성장 전략이 필요하다. 연구 결과, 제안된 네 가지 수익 모델은 파트너십 마케팅, 저작인접권 수익 분배, 커스터마이징 서비스, 서버 기반 플랫폼 구축이다. 이러한 모델은 라이브러리 음악의 활용도를 높이고 제작자와 소비자 간의 신뢰를 기반으로 장기적 관계 형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국내 라...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5(1) pp. 189 - 213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01.01.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5.25.01.189 |
Cover
Summary: | 이 논문은 국내 라이브러리 음악 산업의 현황을 분석하고, 동영상 플랫폼 발전에 따른 시장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음악 제작 방식과 수익 모델 다각화 방안을 제시한다. 국내 시장은 해외 업체의 진출과 경쟁이 치열해져 지속 가능한 성장 전략이 필요하다. 연구 결과, 제안된 네 가지 수익 모델은 파트너십 마케팅, 저작인접권 수익 분배, 커스터마이징 서비스, 서버 기반 플랫폼 구축이다. 이러한 모델은 라이브러리 음악의 활용도를 높이고 제작자와 소비자 간의 신뢰를 기반으로 장기적 관계 형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국내 라이브러리 음악 시장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현지화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This paper analyzes the current state of the domestic library music industry and proposes new music production methods and revenue diversification strategies to respond to market changes due to the development of video platforms. The domestic market faces intense competition from foreign companies, necessitating sustainable growth strategies. The study presents four proposed revenue models: partnership marketing, distribution of neighboring rights revenues, customization services, and the establishment of a server-based platform. These models are expected to enhance the utilization of library music and foster long-term relationships based on trust between producers and consumers. This research outlines th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domestic library music market and emphasizes the need for localization.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5.25.01.18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