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층구조분석을 통한 철도운행안전관리자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최근 산업현장에서의 사망사고 혹은 중대사고가 빈번히 일어남으로 정부는 안전에 대해 엄격한 관리를 기업에게 요구하며, 지난 2022년 1월 27일부로 중대재해처벌법을 시행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철도사고는 여전히 발생하고 있으며, 뉴스에 나오는 대형사고 외에 다수의 철도운행선 인접공사로 인한 사고가 연이어 발생하고 있다. 문제는 철도시설물의 노후화 및 지반의 연약화에 따른 철도개량공사로 철도운행선 인접에서 진행하는 공사가 점차 증가하기 때문이며, 이에 대한 효과적인 개선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철도운행의 안전을 보호하고 철도...
Saved in:
Published in | 대한토목학회논문집(국문), 45(1) pp. 113 - 120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토목학회
01.01.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015-6348 2799-9629 |
DOI | 10.12652/Ksce.2025.45.1.0113 |
Cover
Summary: | 최근 산업현장에서의 사망사고 혹은 중대사고가 빈번히 일어남으로 정부는 안전에 대해 엄격한 관리를 기업에게 요구하며, 지난 2022년 1월 27일부로 중대재해처벌법을 시행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철도사고는 여전히 발생하고 있으며, 뉴스에 나오는 대형사고 외에 다수의 철도운행선 인접공사로 인한 사고가 연이어 발생하고 있다. 문제는 철도시설물의 노후화 및 지반의 연약화에 따른 철도개량공사로 철도운행선 인접에서 진행하는 공사가 점차 증가하기 때문이며, 이에 대한 효과적인 개선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철도운행의 안전을 보호하고 철도시설에 대한 위험요소를 방지하기 위해 “철도보호지구”라는 구역범위를 규정하고, 철도보호지구내 작업시 “철도운행안전관리자”를 법적으로 배치하였지만 활용과 운영의 구조적인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철도운행선 인접공사 사고감소를 위해 필수 안전관리자인 “철도운행안전관리자”의 현실적인 운영문제(인력공급문제, 관리주체문제, 법령과 제도의 문제, 복지문제)를 AHP 분석기법을 통해 해결책을연구하고, 더욱 안전한 철도인접선 공사의 현장관리가 될 수 있는 효율적인 개선방안에 대해 서술하고자 한다. Recently, due to the frequent occurrence of fatal or serious accidents at industrial sites, the government has demanded strict management of safety from companies and implemented the Serious Disaster Punishment Act as of January 27, 2022. Nevertheless, railway accidents still occur, and in addition to the major accidents reported in the news, accidents caused by construction work adjacent to railway lines have occurred one after another. The problem is that construction work adjacent to railway lines is gradually increasing due to railway improvement work due to the aging of railway facilities and weakening of the ground, and effective improvement measures are urgently needed. In order to protect the safety of railway operation and prevent risks to railway facilities, the scope of the “Railroad Protection Zone” has been regulated and a “Railroad Operation Safety Manager” has been legally assigned when working within the railway protection zone, but structural problems in utilization and operation continue to occur. In this paper, we study solutions to realistic operational issues (human resource supply issues, management subject issues, laws and systems issues, welfare issues) of “railway operation safety managers” who are essential safety managers for reducing accidents in construction adjacent to railway lines through AHP analysis techniques, and describe efficient improvement measures that can lead to safer on-site management of railway adjacent line construction.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https://doi.org/10.12652/Ksce.2025.45.1.0113 |
ISSN: | 1015-6348 2799-9629 |
DOI: | 10.12652/Ksce.2025.45.1.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