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구장에서 순환식 지하 히팅 시스템이 동절기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엽출현, 엽록소 수준 및 잔디그라운드 품질에 미치는 영향

K-리그 및A-매치 등의 2월 개최 요구 증가로 인해 동절기 천연잔디그라운드의 녹화 및 결빙 방지의 중요성이 점점더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순환식 히팅 시스템이 동절기 잔디생육 및 그라운드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해서 그라운드유지관리에응용하고자실시하였다.실험은켄터키블루그래스로조성한경기장에서히팅시스템설치유무에 따라 HST (Heating system treatment) 및 NHST (Non-heating system)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히팅시스템 처리 여부에 따라 동절기에 엽출현, 엽록소 수준 및 잔디 그라운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Weed & turfgrass science pp. 239 - 253
Main Author 김서영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잔디학회 01.12.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87-7924
2288-3312
DOI10.5660/WTS.2024.13.4.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K-리그 및A-매치 등의 2월 개최 요구 증가로 인해 동절기 천연잔디그라운드의 녹화 및 결빙 방지의 중요성이 점점더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순환식 히팅 시스템이 동절기 잔디생육 및 그라운드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해서 그라운드유지관리에응용하고자실시하였다.실험은켄터키블루그래스로조성한경기장에서히팅시스템설치유무에 따라 HST (Heating system treatment) 및 NHST (Non-heating system)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히팅시스템 처리 여부에 따라 동절기에 엽출현, 엽록소 수준 및 잔디 그라운드 품질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히팅 시스템 가동 후 2개월이 지난 시점부터 유의적인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해서 1월 10일 NHST 지역에 비해 HST 처리 지역에서 엽출현은 12.5%, 엽록소 함량은 9.9%, 잔디그라운드 품질은 14.2% 더 높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히팅 시스템 설치유무에 따라 돔 경기장의 지상부 잔디생장과 잔디밭 품질은 HST 지역에서 더 높은 경향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차이는 특히 동절기 및 이른 봄 3월 중순까지 크게 나타났다. 즉 히팅시스템을 통해 가온 시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경우 동절기 1-2월에도 휴면이 방지되면서 잔디 엽수 유지로 인해 푸른 잔디밭 유지가 가능하였다. 하지만 동절기의 특성상 기상환경은생육적온에비해상대적으로낮아서왕성한수준의잔디생장을기대할수없기때문에생육전성기의잔디품질과 비교 시 중-하 정도 수준의 잔디밭으로 판단되었다. 장기적으로 향후 추가 연구를 통해 히팅 시스템 설치 후 초종간성능 검정을 포함해서 기술적으로 히팅 시스템 재료, 시공방법, 작동시간, 가동기간, 가온 범위, 미기상 변화 추적 등 잔디그라운드용 히팅 시스템 표준화 작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국내 축구 시즌 및 경기장 운영측면에서 잔디그라운드 유지 비용, 품질 및 효율성 측면의 장단점을 종합적으로 분석해서 전략적으로 선택과 집중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The need for turf managers to keep soil from freezing and maintain its green color in winter is increasing due to soccer games for the K-league and A-Match in February. The study was conducted in Kentucky bluegrass (Poa pratensis L.) to investigate turfgrass growth characteristics and ground quality in winter affected by the hydroponic tubing system and to obtain practical information for sports turf maintenance. Treatments comprised a heating system treatment (HST) and a non-heating system treatment (NHST). Significant variations in leaf occurrence, chlorophyll content, and ground quality were observed in winter. Around January 10, two months after the heating system was operating, considerable effects were observed in the study. HST plots produced 12.5% higher leaf emergence, 9.9% greater chlorophyll content, and 14.2% greater quality than NHST plots. Greater values in leaf growth, chlorophyll production, and turf quality were consistently related to HST over NHST plots, especially in winter and early spring. It would be possible to avoid winter dormancy and maintain its color from January to February with increased soil temperature by operating the heating system. However, the overall turf performance level was considered low to medium because the atmospheric conditions in winter were not favorable for vigorous turf growth. Therefore, turfgrass managers should make different management approaches in the south zone of frozen ground, especially in winter and early spring. Information on leaf emergence, chlorophyll content, and ground quality from this study is useful for soccer field maintenance during winter. Long-term and further in-depth field studies will be required for the heating system to suggest the operation period, the running temperature range, the installation method, the system materials, the micro climatological change regarding regular soccer season, maintenance costs, playability, and system efficiency. KCI Citation Count: 0
ISSN:2287-7924
2288-3312
DOI:10.5660/WTS.2024.1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