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탱자 및 ‘비룡’ 탱자에서 자가수정 및 주심배 유래의 구분 SSR 선발
국내 감귤 대목으로는 거의 대부분 탱자 실생묘를 사용하고 있다. 탱자 실생묘는 대부분 주심배 유래이고, 자가수정 유래가낮은 비율로 혼재되어 있으나 육안 구별은 거의 불가능하다. 자가수정 유래의 탱자묘가 일부 혼재하게 되면 감귤 묘목의 불균일성이 나타나게 된다. 그러므로 탱자 실생묘에서 자가수정 및 주심배 유래를 구분하는 SSR 선발을 통해 자가수정 유래의 빈도를 평가하고 묘목의 균일성을 높이는데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뒤틀림 외형에서 이형접합체로, 그리고 자가수정유래의 비뒤틀림 외형에서는 동형접합체로 나타내는 SSR 20...
Saved in:
Published in | Weon'ye gwahag gi'sulji pp. 749 - 758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English |
Published |
한국원예학회
01.12.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국내 감귤 대목으로는 거의 대부분 탱자 실생묘를 사용하고 있다. 탱자 실생묘는 대부분 주심배 유래이고, 자가수정 유래가낮은 비율로 혼재되어 있으나 육안 구별은 거의 불가능하다. 자가수정 유래의 탱자묘가 일부 혼재하게 되면 감귤 묘목의 불균일성이 나타나게 된다. 그러므로 탱자 실생묘에서 자가수정 및 주심배 유래를 구분하는 SSR 선발을 통해 자가수정 유래의 빈도를 평가하고 묘목의 균일성을 높이는데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뒤틀림 외형에서 이형접합체로, 그리고 자가수정유래의 비뒤틀림 외형에서는 동형접합체로 나타내는 SSR 20개를 선발하였으며, 이 중 한 개체에서 2개이상 확인 가능한 7개를 최종 선발하였다. 선발된 SSR을 일반 탱자에 적용하여 유래 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 종자에서 두 개의 묘가 발생했을 때 큰식물체보다 작은 식물체에서 더 많은 자가수정 유래가 확인됐으며, 기내파종되어 여러 개체를 발생시켰을 때 가장 큰 개체에서는 자가수정이 확인되지 않았다. 한편 육묘장의 파종 1년차 실생 집단 중 키가 큰 실생묘에서는 4.0%, 작은 실생묘에서는26.0%로 자가수정 유래가 확인되었다. 생육이 불량한 개체를 분리 도태시킨 파종 2년차 정식 집단에서는 자가수정이 6.6%의비율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선발된 SSR을 활용하면 감귤 묘목 생산의 균일성을 높임은 물론 감귤에서 생육이 불균일한개체에서 자가수정 유래 탱자 대목의 영향 여부에 대해 확인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Most citrus rootstocks in Korea are seedlings of trifoliate orange. They are mainly known to have a nucellar origin, but at a low rate, those with self-fertilized origins are mixed in, and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the two types visually. If some self-fertilized seedlings are thus mixed, nonuniformity of citrus planting stocks would appear.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frequency of self-fertilized seedlings and the uniformity of seedlings using with DNA markers that identify nucellar and self-fertilized seedlings in trifoliate oranges. Twenty SSRs were selected and determined to be heterozygous in the twisted ‘Flying Dragon’ (Poncirus trifoliata cv.
Flying Dragon) and homozygous in the straight ‘Flying Dragon’, originating from self-fertilization.
A total of seven representative SSRs, capable of double checking in a single plant, were finally selected. As a result of an origin analysis by applying the selected SSRs to a common population of trifoliate oranges, more of those with self-fertilized origins were detected from small plants than large plants when two seedlings were grown from one seed. In particular, the largest plant did not have a self-fertilized origin when several plants were grown from one seed sown in vitro. Also, when the frequency of self-fertilized seedlings was evaluated during the first year and second year in a nursery, a self-fertilized origin was detected at a rate of 4.0% in large seedlings and 26% in small seedlings in the first year after sowing. Plants with poor growth were rogued and degenerated in the second year after sowing, and their self-fertilized origins were detected at a rate of 5.5%. The results here suggests that the selected SSR markers would be helpful to improve the uniformity of the production of citrus planting stocks and would enable the detection of nonuniform growth in citrus plant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226-8763 2465-8588 |
DOI: | 10.7235/HORT.2024005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