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의 보행환경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사례분석

걷기는 노인의 건강증진에 도움이 되지만 안전하고 편리한 경로를 찾는 것은 쉽지 않다. 본 연구는 현재 시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노인 보행자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적합한 보행 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와 보행환경 가이드라인을 분석 종합하여 "노인 보행 시 필요한 정보"를 도출하여 5가지 대분류, 11개 중분류, 24개 소분류로 된 분석틀을 완성하였다. 이후 분석틀을 기준으로 기본형 지도 애플리케이션인 ‘네이버 지도’, ‘카카오 맵’, ‘KOMO...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25(10) pp. 2901 - 2911
Main Authors 최서윤(javascript:void, ), 장은주, 강소민, 정순둘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01.10.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걷기는 노인의 건강증진에 도움이 되지만 안전하고 편리한 경로를 찾는 것은 쉽지 않다. 본 연구는 현재 시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노인 보행자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적합한 보행 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와 보행환경 가이드라인을 분석 종합하여 "노인 보행 시 필요한 정보"를 도출하여 5가지 대분류, 11개 중분류, 24개 소분류로 된 분석틀을 완성하였다. 이후 분석틀을 기준으로 기본형 지도 애플리케이션인 ‘네이버 지도’, ‘카카오 맵’, ‘KOMOOT’를 분석하여 기존 애플리케이션이 노인 보행자의 보행 욕구와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한계점 및 보완점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노인 친화적 보행환경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개발이 필요함을 확인하고 노인용 애플리케이션에는 실시간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보행 경로 안내, 노인 맞춤형 건강 정보 제공, 심리적 위협 요소에 대한 안내 등의 기능을 두루 갖출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노인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증진하고, 사회적 참여와 자립을 지원하며, 사회적으로 노인복지 및 도시 계획 분야에서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Walking improves older adults' health; however, finding safe, convenient routes is challenging. This study aims to analyze existing applications for older adult pedestrians and propose an app that can provide suitable walking environment information. Using a comprehensive framework with five major, 11 medium, and 24 minor categories, "Naver Map," "Kakao Map," and "KOMOOT" were evaluated to highlight their limitations and areas for improvement. The results revealed the need for an age-friendly walking app and features such as real-time location-based route guidance, customized health information, alerts for psychological threats, and notifications about environmental hazards. This proposed app aims to enhance older adults' physical and mental health, encourage social participation, promote independence, and significantly impact their welfare and urban planning by ensuring safer, more accessible walking routes within their communities. KCI Citation Count: 0
ISSN:1598-2009
2287-738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