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기후변화 대응 실천지향 교수학습의 내용체계 및 프레임워크 도출
본 연구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실천지향 교수학습에 활용할 수 있는 내용 체계와 프레임 워크를 도출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실천지향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교수학습의 개념, 내용체계, 교수학습 절차 및 모형에 대한 기초 문항을 작성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2023년 3월부터 5월까지 3차에 걸쳐 20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기후변화 대응 실천지향 교수학습의 개념은 ‘완화’와 ‘적응’이라는 기후 행동을 이끌어 내는 학습 경험을 통해 개인적 혹은 사회적 실천에 참여하는 시민성...
Saved in:
Published in | 교육과정평가연구, 27(3) pp. 55 - 80 |
---|---|
Main Authors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01.08.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1544 2671-728X |
DOI | 10.29221/jce.2024.27.3.55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실천지향 교수학습에 활용할 수 있는 내용 체계와 프레임 워크를 도출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실천지향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교수학습의 개념, 내용체계, 교수학습 절차 및 모형에 대한 기초 문항을 작성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2023년 3월부터 5월까지 3차에 걸쳐 20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기후변화 대응 실천지향 교수학습의 개념은 ‘완화’와 ‘적응’이라는 기후 행동을 이끌어 내는 학습 경험을 통해 개인적 혹은 사회적 실천에 참여하는 시민성과 역량을 함양하는 교수학습으로 그 개념을 도출하고, 이에 해당하는 내용체계로 ‘기후 위기 인식 및 영향’, ‘감수성 및 기후 행동’의 2개 대범주하에 6개의 중범주와 29개 내용 요소를 도출하였다. 또한 교수학습 절차는 ‘이슈 발견하기’, ‘실천방안 도출하기’, ‘실천하기’, ‘성찰하기’의 4단계와 13개 활동으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학생을 중심으로 교사, 학교, 지역사회가 함께 자연과 공존하는 삶을 위한 기후 행동을 이끌어내는 과정을 도식화한 모형을 제시하고 교수학습 절차와 함께 그 프레임워크를 AcTforCCE로 명명하였다. 향후 본 연구에서 도출한 기후변화 대응 실천지향 교수학습을 위한 내용체계와 프레임워크를 실제 학교 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 이에 근거한 학교급별 교육 자원을 개발하고 공유하는 후속 연구를 제언한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content system and framework for action-oriented teaching and learning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By analyzing previous studies, we formulated preliminary questions regarding the concept, content system, instructional procedures, and model for action-oriented climate change education. Based on these questions,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with 20 experts over three rounds from March to May 2023. The study identified the concept of action-oriented climate change education as a teaching and learning approach that fosters citizenship and competencies through learning experiences that promote climate actions of ‘Mitigation’ and ‘Adaptation’, leading to individual and societal engagement. From this, we derived a content system comprising two major categories-‘Climate Crisis Awareness and Impact’ and ‘Sensitivity and Climate Action’—which encompass six subcategories and 29 content elements. Additionally, we proposed a four step instructional procedure consisting of ‘Identifying Issues,’ ‘Deriving Practical Solutions,’ ‘Taking Action,’ and ‘Reflecting,’ along with 13 specific activities. The study presents a model that visualizes the process of guiding climate actions for a life in harmony with nature, centered on students and supported by teachers, schools, and the community. This framework is named AcTforCCE. Future research should apply this content system and framework to actual school settings to verify its effectiveness, and further develop and share educational resources tailored to different educational level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229-1544 2671-728X |
DOI: | 10.29221/jce.2024.27.3.55 |